회색인 ()

현대문학
작품
1963년 6월부터 1964년 6월까지 『세대』에 「회색의 의자」라는 제목으로 연재되었던 최인훈의 장편소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1963년 6월부터 1964년 6월까지 『세대』에 「회색의 의자」라는 제목으로 연재되었던 최인훈의 장편소설.
구성 및 형식

관념적 지식인인 독고준의 내면 서술과 독백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용

이야기의 배경은 1958년 가을부터 1959년 여름까지이다. 즉 4.19 혁명 직전의 한국사회를 배경으로 하면서 당대 젊은 지식인들의 고뇌와 우울, 전망을 그리고 있다.

1958년 어느 비 내리는 가을 저녁에 국문학도이자 소설을 쓰는 독고 준의 하숙집으로 친구인 김학이 찾아온다. 학은 학술 동인지 『갇힌 세대』에 실린 독고 준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하다 준에게 동인회 가입을 권하지만 준은 스스로를 현실에 뿌리내리지 못하고 방황하는 이데올로기의 피해자로 여긴다. 학은 정치학도로서 사회변혁을 꿈꾸는 급진적 행동주의자인데 반해, 준은 사색적이며 관념적이며 사회의 변혁에도 회의적이며 소극적이다.

준은 학이 떠난 뒤 떨어지는 빗방울을 바라보며 공상과 상상이 혼합된 관념의 여행을 떠난다. 어린 시절의 집과 밭과 학교, 그리고 아버지와 자신의 모습 등 회상과 사념(思念)의 여행 속에서 준은 이데올로기와 현실로부터 소외되어 있는 자신을 발견한다. 그는 현실로부터 스스로를 소외시키며 적응하지 못하며 상념의 시간들을 보내는 자신의 비겁함과 소심함에 끊임없이 갈등한다. 1959년 비 내리는 어느 여름날 저녁, 친구 김학이 독고 준을 찾아온다. 두 사람은 함께 술을 마시며 많은 이야기를 나눈다. 이야기 끝에 김순임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자 한순간 분위기는 어색해지고 만다. 이야기 끝에 시간이 늦었다는 핑계로 김학은 돌아간다. 친구를 보내고 난 독고 준은 오랫동안 잠들지 못하고 뒤척이다가 아래층에 있는 이유정의 방문을 열고 안으로 사라진다.

의의와 평가

「회색인」은 최인훈의 소설 속에서 지적(知的) 독백과 사변적인 경향을 강하게 보여주는 대표 작품 중 하나다. 작가 스스로 이 작품을 두고 “통과의례 규정을 자기 손으로 만들어야 하겠다는 집념에 사로잡힌 어떤 원시인 젊은이의 공방(空房)의 기록”이라고 말한 적이 있다. 또한 「광장」, 「서유기」, 「소설가 구보씨의 일일」 등의 작품들과 더불어 작가의 자전적 색채와 작품 세계를 대표적으로 보여준다. 그의 대개의 작품들이 그렇듯 「회색인」 역시 한국사회의 모순와 부조리를 날카롭게 드러내면서 지적이며 비판적인 성찰을 담아낸다. 특히 이 작품은 인물들의 관념적 사고와 논리적 사변(思辨)을 통해 한국전쟁 이후의 젊은이들이 겪는 갈등과 고뇌, 가치관과 의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

참고문헌

『회색인』(최인훈, 문학과지성사, 2010)
『길에 관한 명상』(최인훈, 솔과학, 2005)
「최인훈의 ‘회색인’에 나타난 현실 인식 연구」(권성우, 『어문학』74, 한국어문학회, 2001)
「최인훈의 ‘회색인’ 연구」(권보드래, 『민족문학사연구』10, 민족문학사연구소, 199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