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인 노동영웅 ( )

정치
개념
구소련에서 1938년부터 1991년까지 사회주의 노동영웅이라는 칭호를 받은 고려인. 고려인사회주의노동영웅 · 고려인사회주의노력영웅.
이칭
이칭
고려인사회주의노동영웅, 고려인사회주의노력영웅
정의
구소련에서 1938년부터 1991년까지 사회주의 노동영웅이라는 칭호를 받은 고려인. 고려인사회주의노동영웅 · 고려인사회주의노력영웅.
개설

사회주의 국가인 소련에서 특정 산업 분야의 우수 노동자에게 준 최고의 호칭으로, 개인에게는 명예와 영광을, 소속 단체에게는 우수성을 상징하였다.

연원 및 변천

1938년 12월 27일에 소련 최고회의 간부회의에서‘사회주의 노동영웅’의 칭호가 제정되었다. 처음에는 칭호만 주다가 1940년부터는 낫과 망치가 새겨진 훈장도 함께 주었다. 이 칭호는 국력을 신장시킨 경우, 경제나 과학, 문화 분야의 발전에 기여한 경우, 개인의 생산성 향상이 기준을 초과한 경우 등 뛰어난 업적을 이루었을 때 주었다. 총 수여자는 20,605명에 이르며, 칭호를 2~3번 받은 사람도 있는데, 2번을 받은 사람은 AK소총을 개발한 미하일 칼라시니코프 등 205명이고, 3번을 받은 사람은 수소폭탄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안드레이 사하로프 등 16명이다. 고려인은 모두 209명이 칭호를 받았는데, 북극성(北極星) 콜호즈(kolkhoz)의 회장을 맡았던 김병화(1905~1974)는 2번을 받았다. 이 칭호는 1991년 12월에 소련이 해체되면서 없어졌다.

내용

1948년~1951년에 많은 고려인들이 사회주의 노동영웅의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1950년대~1960년대에 들어서는 몇몇 고려인만이 칭호를 받았을 뿐, 그 숫자는 점차 줄어 들었다.

고려인 사회주의 노동영웅은 벼, 면화, 사탕무우 등 농업 분야와 축산 분야에서 공적을 인정받았던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현상은 고려인을 농업전문가로 연결짓는 이미지 형성에도 영향을 주었다. 곧 카자흐공화국과 우즈베크공화국에 거주하였던 고려인들이 대부분 농업에 종사하였기에, 자연히 농업 분야에서 노동영웅이 많이 배출되었다. 특히 카자흐공화국의 탈디쿠르간주(Taldy-Kurgan州) 카라탈(Karatal) 구역에서는 총 31명의 노동영웅 가운데 고려인이 29명이나 되었다. 또한 단일 경제공동체로서는 김병화가 이끈 북극성 콜호즈에서 모두 26명의 고려인이 사회주의 노동영웅 칭호를 받았는데, 이 숫자는 소련 전체에서도 높은 숫자에 해당한다.

칭호를 2번 이상 받았을 경우에는 고향 땅에 청동으로 만든 흉상을 세울 수 있는 영광을 얻었는데, 현재 우즈베키스탄 타슈켄트주(Tashkent州)에 있는 이전의 북극성 콜호즈의 입구에는 김병화의 흉상이 서 있다. 흉상은 정장 윗옷의 왼쪽 가슴에 붉은색 기장(旗章)에 금색 낫과 망치가 있는 훈장을 달고 있는 모습이다. 비록 흉상은 서 있지 않지만, 카자흐공화국 크질오르다주(Kzyl-Orda州)의 선봉(先鋒) 콜호즈를 이끈 김만삼(1882~1964)도 1947년에 벼농사를 시작한 뒤 성공적인 생산 업적을 내놓아 1949년 5월 20일에 사회주의 노동영웅으로 불렸다. 고려인 사회에서는 사회주의 노동영웅을 특별히 ‘사회주의 노력영웅’이라고도 표현하였다.

의의와 평가

사회주의 노동영웅으로 불린 고려인은 개인적으로 큰 영광이면서 사회적으로도 존경의 대상이 되었다. 소련이 해체된 뒤에 칭호는 무의미해졌지만, 2013년 3월에 러시아연방대통령 푸틴이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각 방면에서 뛰어난 성과를 이룬 사람을 공식적으로 ‘사회주의’ 단어가 빠진 ‘노동영웅’으로 승인하면서, 다시 사회주의 노동영웅에 대한 명예를 인정하고 있는 추세이다.

참고문헌

『사진으로 보는 러시아지역 한인의 삶과 기억의 공간』(박환, 민속원, 2013)
『러시아의 고려인 백과사전』(최 브로냐 편, 모스크바, 2003)
집필자
황영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