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지풍도형용 ()

국악
개념
조선후기 가곡을 부를 때 가창자의 태도 또는 가곡의 음악적 특징을 8글자의 한자로 표현한 문구.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후기 가곡을 부를 때 가창자의 태도 또는 가곡의 음악적 특징을 8글자의 한자로 표현한 문구.
개설

가지풍도형용을 기록한 조선후기 가집의 서ㆍ발문에 나타난 평민가객의 시가관(詩歌觀)은 공자가 편찬한 『시경』의 시가관인 예악위정(禮樂爲政) 사상과 여민동락(與民同樂) 사상의 영향을 받았다.

연원 및 변천

가지풍도형용은 노랫말이 시조를 바탕으로 가곡창이 불리고 난 이후에 형성되었다. 가지풍도형용은 노랫말인 시조의 주제와 관련성을 가지고 있고, 가곡창이 발생한 이후에 생겨난 음악적 분위기와 극적인 감정의 상태, 느낌 등을 8글자의 한자로 된 짧은 글귀로 표현하였다. 후대로 오면서 고착화되는 과정을 통하여 가지풍도형용의 의미에 알맞은 노랫말을 선택하였다.

내용

가지풍도형용은 조선후기 시조를 노랫말로 하는 가곡창을 할 때 가객(歌客) 등 노래를 부르는 가창자가 어떠한 기분과 감정의 상태여야 하는가에 대한 내용을 함축된 짧은 한자 글귀로 제시한 것이다. 노래의 분위기를 암시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가지풍도형용은 조선후기에 편찬된 가집인 『청구영언』ㆍ『해동가요』ㆍ『가곡원류』ㆍ『금옥총부(金玉叢部)』ㆍ『교방가요(敎坊歌謠)』 등에 전한다. 이 가운데 『가곡원류』에 기록된 악곡별 가지풍도형용 15조목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ㆍ가지풍도형용15조목(歌之風度形容十五條目)

〈초중대엽(初中大葉)〉: 남훈전의 오현금, 구름 가듯 물 흐르듯(南薰五絃 行雲流水)

〈이중대엽(二中大葉)〉: 넓은 바다에 외로운 돗배, 평평한 냇물이 좁은 여울을 만난 듯(海濶孤帆 平川挾灘)

〈삼중대엽(三中大葉)〉: 항왕이 말을 달리듯, 높은 산에서 돌을 굴려 내리는 듯(項王躍馬 高山放石)

〈후정화(後庭花)〉: 서리 친 하늘에 기러기 울고, 풀 섶의 뱀이 놀라듯이(鴈呌霜天 草裡驚蛇)

〈이후정화(二後庭花)〉: 공규 부녀자의 원한인 듯, 적막하고 처창하네.(空閨怨婦 寂寞悽悵)

〈초삭대엽(初數大葉)〉: 긴소매를 날리며 뽐내는 춤 솜씨, 푸른 버들에 봄바람이 이네.(長袖善舞 綠柳春風)

〈이삭대엽(二數大葉)〉: 공자님의 행단설법, 비는 순하고 바람은 조화롭다.(杏壇說法 雨順風調)

〈삼삭대엽(三數大葉)〉: 원문을 열고 나서는 장수, 칼이 춤추니 적들이 스러지네(轅門出將 舞刀提賊)

〈소용이(騷聳伊)〉: 폭풍이 비를 부르니, 제비가 가로질러 난다.(暴風驟雨 飛燕橫行)

〈편소용이(編騷聳伊)〉: 두 장수가 교전하매, 신들린 듯 창 쓰는 솜씨(兩將交戰 用戟如神)

〈만횡(蔓橫)〉: 뭇 선비들이 설전을 벌이니, 갖가지 모양의 풍운이 인다.(舌戰羣儒 變態風雲)

〈농가(弄歌)〉: 맑은 내에 깁을 빠니, 물결이 출렁인다.(浣紗淸川 逐浪飜覆)

〈낙시조(樂時調)〉: 요임금의 바람이요, 탕임금의 해로다. 꽃이 난만한 봄의 성터(堯風湯日 花爛春城)

〈편락시조(編樂時調)〉: 춘추의 풍우, 초한의 건곤이라.(春秋風雨 楚漢乾坤)

〈편삭대엽(編數大葉)〉: 대군이 말을 달려오니, 고각이 일제히 울린다.(大軍驅來 鼓角齊鳴)

현황

현재 가지풍도형용에 근거하여 가곡을 부르는 가창자는 거의 없다. 가지풍도형용이 오늘날의 가창 현실과 가창자 및 감상자의 정서와는 거리가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가창 상황에 맞게 재해석 되거나 새롭게 형성된다면 가창의 현장에서 충분히 활용될 것으로 보인다.

의의와 평가

풍도형용은 가곡의 음역ㆍ빠르기ㆍ리듬ㆍ특징적 선율과 연관성이 있다.

음역ㆍ리듬은 풍도와 관련이 있다. 음역대가 가장 넓은 〈편삭대엽〉은 장쾌하고 호방하게, 음역대가 가장 좁은 〈이삭대엽〉은 엄숙하고 장중한 풍도와 일치한다. 그리고 느리게 노래 부르는 〈이삭대엽〉의 풍도는 수많은 변화를 초래하여 복잡하고 다채로운 리듬으로 나타나고 빠르게 부르는 〈편삭대엽〉의 풍도는 빠르고 단순한 리듬으로 나타난다.

빠르기ㆍ특징적 선율은 형용과 관련이 있다. 곡조가 빠를수록 노래가 지니는 분위기와 역동성은 증가하며 느릴수록 한가롭고 여유로와 각각의 형용과 일치한다. 또한 특징적인 선율의 중심음이 높은 경우에는 곡의 분위기가 강하고 날카로우며 중심음이 낮은 경우에는 중후한다. 이 또한 각각 형용과 일치한다.

따라서 가지풍도형용은 서양음악의 발상기호의 기능을 가지고 있다고 하겠다.

참고문헌

『청구영언(靑丘永言)』
『해동가요(海東歌謠)』
『교방가요(敎坊歌謠)』
『가곡원류(歌曲源流)』
『금옥총부(金玉叢部)』
『역주 금옥총부』(김신중 역주, 박이정, 2003)
『교방가요』(성무경 역주, 보고사, 2002)
「『가곡원류』의 〈가지풍도형용〉에 관한 연구」(이찬욱, 『우리문학연구』 37, 2012)
「‘풍도형용’에 관한 고찰」(문주석, 『한국전통음악학』 5, 2004)
「삼대가집(三代歌集)과 『병와가곡집(甁窩歌曲集)』과의 대비(對比) 고찰(考察)」(황충기, 『국어국문학』 70, 1976)
집필자
최선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