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나위는 신라 시대의 향가인 사뇌가(詞腦歌)와 관련이 있다고 한다. 즉 당시의 외래 음악이었던 당악과 구별되는 순수한 우리 음악인 향악을 뜻한다.
또 시나위는 신악(神樂)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한다. 신아위, 신노이, 신놀이, 신방곡, 심방곡(心方曲) 등으로 불리기도 한다.
원래 시나위합주는 경기도 이남과 전라도 및 충청도의 시나위권 단골 무당의 굿판에서 무가의 선율을 살풀이, 자진살풀이, 도살푸리, 모리, 발뻐드래 등의 무악 장단에 맞추어 대금, 피리, 해금, 장구, 징 등의 악기 연주자들이 즉흥적으로 연주하는 기악 합주 음악의 총칭이다. 그러나 현행 시나위 합주는 무악 장단이 아니라 진양, 중모리, 중중모리, 자진모리 등과 같은 산조 장단에 의해서 연주되고 있다.
시나위 합주의 이런 연주 형태는 조선 후기부터 유래된 것으로 보인다. 무당의 굿판에서 연주된 원래의 시나위 합주에 참여한 무부 중의 일부가 시나위 가락을 독주로 연주하거나 판소리 가락을 악기로 흉내내면서 그런 무부가 독주로 연주한 시나위 가락과 판소리 가락이 산조의 원형과 관련이 있다.
시나위 합주는 대금, 피리, 해금, 장구, 징으로 편성되는 것이 원칙이다. 때로는 쌍피리를 쓰기도 하는데, 이 경우에는 겻피리, 목피리, 대금, 해금, 장구, 북으로 편성되는 삼현 육각 편성과 비슷하다. 가야금이나 아쟁을 편성하다든가 대금이나 퉁애 혹은 태평소로 독주하는 경우는 예외 편성으로 보고 있다.
시나위에 쓰이는 장단은 살푸리 및 자진살푸리가 원칙이다. 경기도지방에서는 도살풀이 장단이 쓰였으나 오늘날 경기도지방 시나위에서는 도살풀이 장단이 쓰이지 않는다. 시나위는 피리를 기준하여 하할림, 중할림, 빗청(하관원청), 상관원청, 단오관 등 여러 청이 있으나 일반적으로 연주되는 청은 단오관청이다. 단오관청은 요새 민속악인들이 d'음으로 기보한다.
시나위는 각 선율 악기들이 다른 가락을 연주하는 다성 음악적 수법을 쓴다. 예를 들어 대금이 ‘떼-’하고 청을 내면 피리는 청에서 4도 아래로 ‘노니노-’하고 음을 대고 해금은 청에서 5도 위로 ‘기-’하고 다음 음을 대어서 각기 다른 가락을 불어나간다.
현재 시나위 합주는 거문고, 가야금, 대금, 피리, 해금, 장구, 징, 제금 등으로 연주된다. 예전의 즉흥성은 많이 감소되었다.
시나위 합주에서 어느 악기가 하성(下聲)으로 내면 다음 악기는 중성(中聲)으로 그 다음 악기는 상성(上聲)으로 내고, 또 하성으로 내던 악기가 중성으로 오르면 다음 악기는 상성으로 그 다음 악기는 하성으로 바꿔 내어 상, 중, 하성의 대위를 이루어 나간다. 또 본청이 지루하면 생삼청(계면조의 변청)을 써가며 청의 변화를 주어 새로운 선율형을 연주하기도 한다. 이러한 즉흥적인 기교는 오랜 숙련에서 얻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