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영에서 지휘 통신에 사용하는 도구를 형명이라 한다. 눈으로 신호를 확인하는 기치류(旗幟類)는 ‘형(形)’이라 하고, 귀로 신호를 확인하는 금고류(金鼓類)는 ‘명(名)’이라 한다. 형명은 기치류와 금고류로 구성되었으므로 ‘기고(旗鼓)’라 하기도 하고, 명(名)을 ‘금고(金鼓)’라고도 한다.
형명은 조선전기 군사제도의 정비 등으로 새로 수립된 지휘 통신 체계이다. 여기에 포함된 취타악기는 고려에서 사용하던 악기 일부와 새로운 악기로 구성된 것인데, 취타악기 중 비(鼙)·탁(鐸)은 전승이 단절되었고, 금(金)·고(鼓)·각(角)·나(螺)·태평소·나발은 조선후기까지 전승되었다. 조선후기에는 형명의 의미가 깃발로 한정되었고, 음악은 ‘계라(啓螺)’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그 기능을 나타내게 되었다.
형명은 조선전기 군사제도의 정비 등으로 새로 수립된 지휘 통신 제도이다. 형명은 기치류를 뜻하는 ‘형(形)’과 금고류를 뜻하는 ‘명(名)’의 합성어로, 조선전기에 처음 보인다. 『세종실록』 오례의 군례서례 병기와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군례 형명도설에는 형명에 속하는 악기의 도설(圖說)을 수록하고, 형명의 종류와 형태, 제작 재료 등 간단한 설명을 곁들여 놓았다. 『문종실록』·『단종실록』·『세조실록』에는 형명의 종류와 편성의 규모·용처까지 밝혀놓았다. 문종대에 저술된 『오위진법』에는 형명에 포함된 취타악기의 주석과 해설이 상세하여 당시의 형명 즉 기휘(旗麾), 금고(金鼓) 등 지휘 통신기구의 사용법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이들 각 자료에 기록된 형명의 취타악기는 대각(大角)·소각(小角)·고(鼓)·금(金)·정(鉦)·비(鼙)·탁(鐸) 등 일곱 종류이다. 이 중 비·탁은 전승이 단절되었고, 금·고·각·나·태평소·나발은 조선후기까지 전승되었다
조선후기에는 형명의 의미가 ‘깃발’로 한정되었고, 음악은 ‘계라(啓螺)’라는 새로운 명칭으로 그 기능을 나타내게 되었다. 계라는 나발(哱囉(螺角))를 불고 군악을 시작한다는 것을 왕의 수레 앞에서 계문하는 일을 뜻하는 용어이다.
조선후기 계라 등에 사용한 악기는 대각(大角)·나각(螺角)·나발(喇叭)·호적(號笛·胡笛)·바라(哱囉)·솔발(摔鈸)·자바라(啫哱囉)·점자(點子)·금(金)·정(鉦)·나(鑼)·고(鼓)이다.
형명은 고대로부터 조선후기까지 군영에서 사용한 통신·신호를 위한 악기를 면면히 이어온 점에서 그 역사성이 있고, 고대 악기의 연주전통을 이어오게 하고, 새로운 악기의 도입 계기가 된 점에서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