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4∼86년 이후 북한의 공장체제를 ‘연합기업소 체제’라고 한다. 이것이 공식화된 것은 1984년 11월 정무원 상무회의의 ‘독창적’ 방침을 통해 ‘관리국과 연합기업소를 새로 내오려는 결정’을 취하면서 부터였다.
연합기업소는 다양한 형태를 취하는데, 그 중 중요한 형태의 연합기업소는 다음과 같다. ➀ 모공장을 중심으로 하고 그에 종속되는 기업소들을 망라하여 조직한 형태, ➁ 일정한 지역의 같은 제품 생산기업소들(동종 기업)과 그에 종속하는 기업소들을 망라하여 조직한 형태, ➂ 전국적 범위에서 같은 제품 생산 기업소들을 망라하여 조직된 형태, ➃ 마지막으로 기타 특수한 형태의 기업소 등이다.
북한에서는 대체로 위의 ➂의 연합기업소가 지배적인 형태가 되었다. 북한에서 연합기업소 체제가 형성되면서 기업단위의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 공장당의 역할을 일정정도 제한하는 조치를 취했다. 즉 “연합기업소 당비서를 지배인보다 반급 낮추는 조치”를 취하였다. 이는 당의 행정대행 현상, 즉 경제전문가도 아닌 당비서가 경제 전문가 행세를 하면서 행정 경제일꾼들을 제치고 공장기업소의 경영을 좌지우지하는 현상을 제거하고, 경제 전문가인 지배인의 권한을 높여 경제적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것이었다. 그리하여 연합기업소 체제 하에서는 연합기업소가 개별 공장들을 관리하기 때문에, 국가가 개별 공장과 기업소들을 일일이 상대하지 않고 연합기업소만을 관리하면 되었다.
북한에서 이러한 연합기업소 체제는 1990년대 중반의 고난의 행군 시기를 거치면서도 의연히 지속되었지만, 연합기업소 체제는 1998∼2001년 사이에 대대적으로 해체되었다가 다시 재구성되는 우여곡절을 경험했다. 현재 북한의 공장들 대부분이 가동을 멈춘 채로 방치돼 있지만, 북한은 공식적으로 다시 연합기업소를 중심으로 공장관리를 행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