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진무 ()

무용
작품
일제강점기 경성의 기생이 추었던 춤.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일제강점기 경성의 기생이 추었던 춤.
내용과 구성

성진무(性眞舞)의 구체적인 내용과 구성에 대한 사료는 아직 발굴되지 않았다. 다만 1912년 단성사 강선루 공연에서 성진무를 롱선이 혼자 추었고, 1917년 11월 한남권번 연주회의 광고 중에 성진무를 개량하여 구운몽연의(九雲夢演義)를 제작했다고 했으니, 성진무에서 성진은 소설 『구운몽』에 나오는 성진이라고 하겠다. 승려 성진의 구도과정 중에서 한 장면이거나, 성진의 구도과정 전체를 춤으로 표현한 독무이다.

의의와 평가

성진무는 조선시대에 볼 수 없는 춤이다. 이 춤의 초연은 1908년 광무대 기획공연이었다. 광무대가 흥행을 위해 새롭게 창작한 춤 5종에 성진무가 포함되었다. 이후 이 춤은 1912년 단성사 강선루 공연, 1914년 신창기생 연주회, 1915년 시정오년기념공진회에서 추어졌으니, 성진무는 꾸준히 인기 있는 춤이었다. 그리고 1917년에는 한남권번이 「성진무」를 「구운몽연의」로 재구성했다고 했다. 구운몽에 나오는 여러 인물들을 직접 등장시켜 일종의 무용극으로 꾸몄던 것이다. 성진무는 동 시기에 창작된 팔선녀무와 같은 문화적 배경을 갖고 있다고 하겠다. 조선 말기까지 소설 『구운몽』을 모티브로 한 그림, 연희, 탈춤, 소리가 만들어졌으니, 구운몽의 소재를 모티브로 하여 성진무라는 춤을 만들었던 것이다. 그리고 『기완별록(奇玩別錄)』이 기록한 놀이 중에 성진이 법고 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성진무는 승려 성진의 행각과 관련이 있는 춤이다.

참고문헌

「일제강점기 초반 기생의 창작춤에 관한 연구」(김영희, 『한국음악사학보』 33, 2004)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