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고 남은 재

무용
작품
한국무용가 배정혜가 1977년 네 번째 창작발표회에서 선보인 작품.
정의
한국무용가 배정혜가 1977년 네 번째 창작발표회에서 선보인 작품.
구성 및 형식

조곡(組曲) 형태의 작품으로, 여기서 조곡이란 몇 개의 소곡이나 악장을 조합하여 하나의 곡으로 구성한 복합 형식의 기악곡을 말한다. 「타고 남은 재」는 기존의 공연예술로서 한국무용을 개량하는 선에서 더 나아가 춤사위에 표현성을 투입하고 새로 개발된 역동적인 춤사위를 덧붙여 무대 구성을 획기적으로 쇄신하였다.

내용

성인이 된 배정혜가 정식으로 프로페셔널한 안무가로서 입지를 확립한 작품이다. 배정혜의 첫 번째 대작인 「타고 남은 재」는 우주, 인간, 삶에 관한 철학적인 물음을 춤으로 표현한 것이다. 명의 세계, 핵의 세계, 멸의 세계를 각각 태어나기 전의 운명적인 세계, 갖가지 욕망과 욕구가 가득 찬 세계, 모든 것을 뒤로 한 죽음의 세계로 그려냈다. 음악은 황병기가 맡았다.

당시 고착화된 신무용 스타일에서 벗어나 한국무용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평가를 받았다. 모양새 위주의 춤을 바탕으로 이야기와 감정의 단면을 표현하는데 그쳤던 한국무용에 호흡의 흐름으로 빚어지는 동작이라는 방법론을 도입함으로써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것이다.

의의와 평가

이 작품은 1977년 평론가들에 의해 한국 창작무용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했다는 평가와 함께 최우수 작품으로 선정되었다. 또한 단순히 전통무용을 개량하는 차원을 넘어 새로운 춤사위의 미학을 개척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되었다.

참고문헌

『우리무용 100년』(김경애·김채현 외, 현암사, 2002)
「전설적인 춤의 자취를 되짚어보며, 배정혜」(심정민, 『한팩뷰』 11, 2011)
집필자
심정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