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열의 시 ()

무용
작품
현대무용가 김복희 · 김화숙이 1971년에 발표한 현대무용 작품.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현대무용가 김복희 · 김화숙이 1971년에 발표한 현대무용 작품.
구성 및 형식

1971년 김복희·김화숙무용단의 창단공연에서 발표된 작품이다. 당시 명동 국립극장에서 개최된 창단공연에서는 총 7개의 작품 「4상의 디자인」, 「어느 날 오후에」, 「날아오르는 선」, 「아 요기 꿈을 찾는 인간이」, 「의식의 빛」, 「함께 가야 한다」 그리고 「법열의 시」가 선보여졌다.

「법열의 시」는 인도의 라가(Raga)와 불교적 의식에서 영향을 받은 30분짜리 작품으로, 당시 한국 현대무용에서는 도외시되었던 불교적 색채가 농후한 작품으로 화제를 모았다. 실제로 목탁과 범종 같은 소품이 등장하기도 하였는데, 여기서 불교적인 소재는 종교적이기보다는 한국적인 문화의 원류로 사용되었다.

내용

이 작품은 불교에서의 참선을 소재로 하였지만 그렇다고 종교적인 접근을 한 것은 아니고 인간의 내면적 성찰을 주로 다루었다. 이는 참다운 나를 찾아간다는 참선의 의미를 현대무용으로 형상화한 것으로, 알렉산더 스크랴빈(Alexander Scriabin)의 동명의 교향곡을 비롯하여 한국의 대금소리와 인도의 라다음악을 사용하였다는 것이 주목을 받았다.

의의와 평가

김복희와 김화숙은 자신들의 이름을 건 무용단의 창단공연부터 현대무용 형식에 한국적인 내용을 담는 작업을 실천하였다. 특히 이 작품은 서양의 현대무용을 그대로 모사하는데 급급했던 당시 상황에서 한국 현대무용가가 몸으로 표현할 수 있는 한국적인 현대무용을 탐구하고 실현하였다는 것에 높은 가치를 인정받았다.

참고문헌

『춤연감 2004년 한국의 무용가』(댄스포럼, 2004)
「비온 뒤에 더 굳는 대지처럼, 김화숙」(심정민, 『한팩뷰』11, 2012)
「한국적인 현대무용을 추구하며, 김복희」(심정민, 『한팩뷰』4, 201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