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외선 ()

무용
인물
해방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를 역임한 교육자. 안무가.
이칭
이칭
세실리아(세례명)
인물/근현대 인물
성별
여성
출생 연도
1915년 12월 1일
사망 연도
2011년 9월 3일
본관
경주
출생지
경상남도 김해시 진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해방 이후 이화여자대학교 무용과 교수를 역임한 교육자. 안무가.
생애 및 활동사항

일제 강점기 일본에 유학하여 정식 클래식 발레교육을 받은 최초의 조선인으로 한국인 최초로 일본 체육학교 무용교수이자 무용영화 안무가를 역임했다. 1960년대 미국의 마사 그레이엄(Martha Graham) 현대무용 기법을 국내에 최초로 도입한 장본인으로 한국 최초로 대학 무용과 창설을 주도했다. 국내 최초의 무용 이론서인 『무용학 개론』을 집필해서 국내 무용학의 기틀을 다졌다. 아동문학가 마해송의 아내이자 시인 겸 방사선과 재미(在美) 의사인 마종기(馬鍾基)의 어머니이다.

초등학교 6학년 때 담임선생님의 지도로 「한떨기 장미꽃」을 추었고, 마산여고 3학년 때 최승희의 공연에 감명 받아, 그녀의 단성사 공연에 출연하였다. 최승희의 권유로 1931년 도일하여 1935년 다까나 세이코의 무용연구소에서 발레와 현대무용을 배웠다. 이후 동경음악학교와 니까이도 체조학교의 무용강사로 활동하면서 일본문화학원 불문학과를 졸업하였다. 1936년 제1회 박외선 무용발표회에서 「갱생」, 「사랑의 꿈」, 「압박받는 사람에게 영광 있으라」, 「세레나데」 등을 동경청년회관에서 개최한 이후 일본 전역과 대만, 중국, 만주 등을 돌며 공연했다. 이 공연은 기교적으로 다까나류의 발레와 가까웠지만, 내용적으로는 그만의 독특한 창작물로서 한국인의 무용을 과시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이후 조택원의 파트너로 「만종」을 공연할 예정으로 모던 니혼 잡지사의 마해송을 만났는데, 8개월 만에 결혼하여 1938년에서 1953년까지 전업주부로 생활하였다.

1944년 귀국하여 이화여자 고등학교 강사로 활동했으며, 1945년 전국 학교교육무용지도자 강습회를 개성에서 개최했다. 1953년 이화여자대학교 체육과에서 최초로 창작발레와 창작법을 지도했고, 1962년 동경 현대무용 강습회에서 마사 그레이엄의 기보 테크닉을 배웠다. 1963년 당시 이화여자대학교 총장이던 김활란 선생을 설득하여 국내 최초로 무용과를 신설하는데 주도적인 역할을 하면서 대학 차원의 현대무용 교육을 최초로 도입하고 극장무대화를 시도했다. 1974년 제2회 박외선 발표회에서 「대지의 무리들」, 「고별」을 공연하였고, 춤 아카데미즘 초기 무용이론서를 집필하여 무용학의 발전에도 선구적 역할을 하였다. 주요 저서로는 『무용개론』(1961), 『현대무용창작론』(1969), 『중등 새무용』(1976) 등이 있다.

24년간 박외선은 무용 교육자로 활동하면서 그가 배출한 무용가들이 1970년대부터 전국적으로 확산되었고, 또한 꾸준한 창작활동과 연구를 진행해 현대무용이 한국의 춤예술로 자리 잡는데 공헌하였다. 한때 일본 영화에도 출연하는 등 눈부신 활동을 펼쳤으나 아동문학가 마해송과 결혼하면서 주로 이화여자대학교 강단에서 교육에만 전념하였다. 1977년 퇴임하면서 자녀들이 있는 미국으로 가 생활하다가 2011년 9월 3일 향년 96세의 나이로 별세하였다.

상훈과 추모

2003년 정부로부터 무용계 발전을 위해 헌신한 공로로 보관 문화훈장을 수상하였다. 2012년 9월 17일에 동숭동 연낙재에서 한국 현대무용의 선구자 박외선 1주기 추모 행사가 열리며진행된 학술세미나에서는 고인의 삶과 예술세계, 무용사적 업적이 조명되었다. 그리고 아들인 시인 마종기는 연낙재에 기증한 고인의 미공개 영상 및 사진을 전시하였다. 또한 이 행사는 제자 육완순 한국현대무용진흥회 이사장, 김매자 창무예술원 이사장, 정승희 전 무용원장 등 무용계 원로들이 모이는 자리가 되었다. 이후 박외선을 추모하기 위해 2012년 12월 20일 부산대학교 제자 중 정귀인 부산대 예술대학 무용학과 교수가 「춤의 혼과 정신」을 주제로 공연을 하기도 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 예술사대계』5(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시공아트, 2005)
「한국 현대무용 토착화과정에서 박외선의 역할」(김주희·정의숙, 『무용예술학연구』, Vol. 41, 2013)
「현대무용 선구자 박외선 1주기 추모 행사」(『문화일보』2012.9.13)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