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를 걷는 무리 (를 걷는 무리)

연극
작품
백철이 『第一線』 제23호(1933년 3월호)에 발표한 슈프레히콜 형식의 희곡.
이칭
이칭
수도를 걷는 무리
정의
백철이 『第一線』 제23호(1933년 3월호)에 발표한 슈프레히콜 형식의 희곡.
구성 및 형식

이 작품은 1930년대 전반 새로운 연극 양식의 하나로 소개되었던 슈프레히콜(Sprech-chor) 양식으로 쓰여진 일종의 시극이다. 슈프레히콜은 독일어로 ‘말하다’(sprechen)와 ‘합창’(chor)의 합성어로, 우리나라에서는 ‘슈프레히콜’ 혹은 ‘합창극’으로 불렸다. 1920년대 독일 노동연극에서 발생, 발전한 슈프레히콜은 1930년대 초 일본을 거쳐 국내에 소개되었는데, 프롤레타리아 연극운동가인 신고송이 적극 소개했다. 슈프레히콜 가운데 유일하게 실제 상연된 「메가폰」(신고송 작, 1932)은 대본이 남아 있지 않고, 백철과 박세영이 창작하여 지면에 발표한 대본 몇 편만이 남아 있다.

이 극은 갑, 을, 병 등의 개별 낭송으로 전개된 내용을 일동의 합창 낭송으로 소리를 모아 집중된 힘으로 확대하여 반복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특이한 점은 계단 형태의 표기 방식을 통해 같은 낭송자의 대사라도 음의 높낮이가 있음을 명시한다는 점이다.

내용

청색 유니폼을 입은 갑, 을, 병, 정, 무, 기, 경, 신 등 10명의 노동자가 흑색의 간단한 배경이 있는 무대에서 개별 낭송과 전체 합창을 교차 진행한다. 크게 3단 구성을 취하는데, 도입부에서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 공간을 “어둡고 침침한 굴 속”, “떨리고 추운 지옥길”로 규정한다. 처음 이 수도에 걸어 들어왔을 때 험한 지옥의 길인 줄도 모르고 행복과 낙원을 꿈꾸려 했던 어리석음을 반성한다. 전개부에서는 이 굴의 정체를 알게 된 냉철한 현실인식 하에 새로운 희망과 광명을 찾아 온갖 고난과 고통의 행로를 걸어왔음을 제시한다. 그 과정에서 많은 동무들도 잃었고, 용기도 껶였지만 이에 굴하지 않고 광명을 향해 전진하고 있음을 노래한다. 결말부에서는 광명을 향해 나가는 선발대를 본받아 자기들 후발대도 고난을 극복하고 광명을 향해 용감하게 나가자는 결의를 강렬하게 보여준다.

의의와 평가

1930년대 전반 프롤레타리아 연극 진영에서 노동자 연극의 한 형태로 수용했던 슈프레히콜 양식을 보여주는 대본이라는 점에서 연극사적 의의가 크다. 짧은 길이로 인한 소인극 공연 가능성, 또 대중선전선동극으로서의 유효성을 확인하게 된다.

참고문헌

『한국 현대 대표희곡선집』1 (한국극예술학회 편, 월인, 1999)
집필자
김성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