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부산광역시 유형문화재(현, 유형문화유산)로 지정되었다. 석가모니불상 높이 66.3㎝, 제화갈라보살상 높이 59㎝, 미륵보살상 높이 55.5㎝, 십육나한상 높이 45~58㎝. 장안사 응진전에 봉안된 석가삼존십육나한상으로 재료는 불석(佛石)이며, 불상에서 나온 조성발원문을 통해 1684년 6월에 승호(勝浩, 勝湖)를 비롯한 희연(熙衍), 천휘(天輝), 천택(天澤) 등이 제작하고 많은 시주자들이 참여하여 조성되었음이 밝혀졌다.
석가여래상을 중심으로 좌우에 미륵과 제화갈라보살이 협시하고 범천상, 십육나한상, 사자상, 인왕상 등 모두 23구가 현재 응진전에 봉안되어 있다. 응진전 불상군을 조성한 승호는 같은 사찰인 명부전의 지장시왕상도 함께 제작하였는데 17세기 중 · 후반 경상도 지역에 집중적으로 작품을 남긴 대표적인 조각승이다. 그는 1640년에 청허(淸虛)가 제작한 거창 심우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원 덕유산 연수사. 보물, 2010년 지정) 조성에 처음 등장하였고 1655년에 도우(道祐)와 함께 칠곡 송림사 석조아미타삼존불좌상을 만들었다. 이후 수화승으로 1678년에 청도 덕사 영산전 석조여래삼존상 및 십육나한상, 청도 덕사 명부전 석조지장삼존상 및 시왕상, 1681년에 창원 성주사 석조지장시왕상, 1685년에 청송 대전사 석조석가여래삼존불좌상 등을 제작하였다.
석조석가삼존불좌상과 나한상은 고개를 앞으로 약간 숙인 자세에 전체적으로 큰 얼굴, 짧은 신체에 무릎이 높다. 어깨는 좁은 편이며 방형의 큰 얼굴에 딱딱하고 단조로운 옷주름 등이 특징이다.
석가여래상은 항마촉지인에 변형 통견식으로 대의를 입은 전형적인 17세기 석가불의 모습이다. 얼굴은 턱이 짧고, 넓은 미간, 눈꼬리가 올라간 긴 눈, 뭉툭한 코, 얇고 작은 입을 표현해 원만한 인상이다. 대의의 옷주름은 단순한데 왼쪽 무릎에는 나뭇잎 모양의 옷자락이 걸쳐 있고 다리 사이의 가운데 맞주름은 안쪽 단이 바깥으로 접혀져 있다. 이러한 특징은 청도 덕사, 청송 대전사 불상 등 승호가 만든 다른 작품에도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형식적 특징이다.
좌우 측면에 배치된 협시보살상은 본존불과 신체 비례, 얼굴, 착의법, 수인 등에서 유사하지만 머리에 중앙이 높은 보관을 쓰고 상투머리[寶髻]와 머리카락을 표현하여 여래상과 차별화되었다. 백색으로 표면을 분장한 삼존상과는 다르게 화려하게 채색한 장삼과 가사를 입은 십육나한상은 손에 염주, 불자, 경책 등의 다양한 지물을 들거나 해태 등의 서수를 무릎에 둔 나한도 보인다. 짧은 신체에 좁은 어깨, 방형에 미간이 넓은 이목구비 등은 본존과 유사하다.
17세기 후반경 경상도 지역에서 불석으로 만든 석조 불상으로 유명한 조각승 승호의 작품이다. 조성 시기와 제작자가 명확하고 17세기 중 · 후반기의 불석제 불상에 보이는 일반적 특징은 물론 승호만의 조형성이 잘 반영된 작품으로 조선 17세기 불교조각사와 경상도 불상의 지역성 연구에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