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수국사 십육나한도 (서울 )

목차
관련 정보
서울 수국사 십육나한도
서울 수국사 십육나한도
회화
유물
문화재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국사에 봉안할 목적으로 1907년에 제작한 나한도.
정의
서울특별시 은평구 수국사에 봉안할 목적으로 1907년에 제작한 나한도.
개설

2007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무명 바탕에 채색. 세로 153㎝, 가로 249.5㎝. 십육나한은 깨달음을 얻어 아라한과(阿羅漢果)에 이르렀으나 미륵(彌勒)부처가 올 때까지 열반(涅槃)에 들기를 미룬 채 이 땅에 남아 불법을 수호하고 중생을 이롭게 하는 소임을 맡은 16명의 불제자이다. 나한은 십육나한, 십팔나한, 오백나한으로 무리를 이루어 신앙화 되는데, 그 중 십육나한은 나한의 성격이 가장 집약된 구성이라 할 수 있다. 십육나한의 구성과 성격은 『불설대아라한난제밀다라소설법주기(佛說大阿羅漢難堤密多羅所說法住記)』에 자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이 그림은 경전에 기술된 십육나한의 특성이 잘 반영되어 있다.

내용

근대기 서울 지역의 대표 화사인 보암당(普庵堂) 긍법(亘法)이 주관하고 두흠(斗欽)과 현상(炫祥)이 동참하여 그렸다. 대한제국기인 1907년 황실의 명(命)을 받아서 강재희(姜在喜), 강문환(姜文煥) 등이 관리 감독하여 제작한 여러 점의 수국사 불화 중 하나이다.

한 화면을 총 17개로 분할하여 석가삼존과 십육나한을 각기 배치한 특이한 구도의 작품이다. 십육나한은 석가모니로부터 정법수호와 중생 구제의 수기(授記)를 받은 제자들이므로 함께 표현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 작품 역시 그 중 하나이다. 각기 분할된 화면에 산수를 배경으로 앉아 있는 나한을 크게 부각하여 그렸고 그 옆으로 공양자, 시자, 동자 등을 함께 표현하였다. 나한은 향로나 염주, 석장 등의 지물을 들고 예배를 드리거나 공양자로부터 시주를 받는 등 다양한 모습으로 묘사되어 있다. 붉은색과 녹청색을 위주로 채색하였다.

이 그림은 남양주 불암사 십육나한도(1897)와 매우 유사하다. 긍법은 경선당 응석(慶船堂應釋)이 주도한 불암사 십육나한도의 제작에 동참했었는데 이를 계기로 도상을 인식, 공유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체 화면의 크기가 달라서인지 일부 존상을 생략하는 등 변용하면서 차별성을 꾀하였다.

의의와 평가

화면 분할 구도를 활용한 그림으로 근대기 서울 · 경기 지역에서 제작된 불교 회화의 경향을 이해하고 십육나한도의 내용과 특징을 파악하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또한 황실의 안녕과 성수만세(聖壽萬歲)를 기원하며 제작된 황실 발원 불화라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한국의 나한도』(신광희, 한국미술연구소, 2014)
「조선후기 십육나한 도상의 계승」(신광희, 『동악미술사학』10, 동악미술사학회, 2009)
관련 미디어 (1)
집필자
신광희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