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재규는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에서 일어난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한 독립운동가이다. 1919년 3월 18일, 삼가 장터에서 1차 만세시위를 주도하였다. 3월 23일 합천군 쌍백면 주민 4,000여 명과 함께 쌍백면사무소를 방화한 후, 삼가 장터의 합천군 쌍백면 · 가회면 · 삼가면, 산청군 생비량면 등 1만 3000여 명의 연합 시위에 참여하였다. 일본 경찰의 총격에 항의하며 시위대에 앞장서다가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공재규(이명 공사겸(孔士謙))는 합천군 쌍백면 외초리의 71세 노인으로 3월 18일 정연표(鄭演彪) 등 주민 400여 명과 함께 약 10리 거리의 삼가 장터에서 시위 군중을 지휘하며 오전 11시부터 오후 8시까지 1차 만세시위를 벌였다. 일제의 강압으로 해산하면서 다음 삼가 장날 대대적인 면 연합 만세시위를 계획하였다.
3월 23일 공재규는 정원규(鄭元圭)·진택현(陳宅賢)·오영근(吳永根)·정치규(鄭致圭) 등과 함께 4천여명의 시위 군중을 인솔하여, 상백면사무소 일대를 행진하고 면사무소를 불태운 후에 삼가 장터에 합류하였다. 이날 삼가 장터에는 가회면, 삼가면, 상백면으로부터 군중이 몰려들어 그 수가 1만 3,000명에 달하였다.
이날 오후 3시경, 삼가 장터 정금당(正衿堂) 앞에서 김전의(金典醫)·정방철(鄭邦哲)·김달희(金達熙)·임종봉(林鍾鳳) 등이 등단하여 조국독립의 필연성과 일제의 침략상을 규탄하는 강연회가 열렸는데, 마지막 연사인 임종봉이 연설을 할 무렵, 강연장을 포위하고 있던 일본 헌병이 임종봉에게 총격을 가하였다.
사상자가 발생하자 시위 군중은 격분하여 오후 5시 30분경 경찰 주재소와 우편소로 몰려가 파괴하였다. 이에 위협을 느낀 일본 경찰은 다시 군중에 무차별 총격을 가하였다. 공재규는 시위대에 앞장서서 나아가다 순사의 무차별 사격으로 현장에서 순국하였다.
1977년 대통령표창,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