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기범 ()

목차
관련 정보
근대사
인물
일제강점기 때,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장터의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는 과정에서 순국한 독립운동가.
인물/근현대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62년
사망 연도
1919년 3월 23일
출생지
경상남도 산청
대표 상훈
건국훈장 애국장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김기범은 일제강점기,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에서 일어난 만세시위를 주도한 독립운동가이다. 산청군 생비량면 출신으로 1919년 3월 23일 합천군 삼가면 장날 만세시위에 생비량면 주민들을 이끌고 참가하였다. 삼가 시위는 3월 18일 400명의 1차 시위에 이어, 3월 23일 합천군 쌍백면 · 가회면 · 삼가면, 산청군 생비량면 등이 연합하여 2차로 1만 3,000명의 대규모 만세시위로 전개되었다. 김기범은 만세시위에 앞장서다가 일경의 총격으로 현장에서 사망하였다.

정의
일제강점기 때,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장터의 독립만세시위를 주도하는 과정에서 순국한 독립운동가.
주요 활동

김기범은 산청군 생비량면 사람으로, 산청군 대양면의 강홍렬(姜弘烈)이 서울의 고종 황제 국장(國葬)에 참여하였다가 입수한 독립선언서 한 부를 전달받았다.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 장날에 일어난 만세시위는 3월 18일 400명의 1차 시위에 이어 3월 23일 합천군 쌍백면 · 가회면 · 삼가면, 산청군 생비량면 등이 연합하여 2차로 1만 3,000여 명의 대규모 만세시위로 전개되었다. 김기범은 3월 23일 면 연합 삼가장터 만세시위가 계획될 때 생비량면 주민 동원 책임을 맡았다.

3월 23일 김기범은 수백 명의 생비량면 주민을 이끌고 농악을 울리며 삼가 장터에 합류하였다. 오후 3시 삼가의 정금당(正衿堂) 앞 단 위에 태극기를 세우고 일제의 침략을 규탄하는 연설을 시작하였다. 일본 경찰이 출동하여 단 위에서 연설하는 주도자들에게 총격을 가하였다. 총격으로 사상자가 생기자 시위 군중은 격분하였다. 시위대가 경찰 주재소와 우편소로 몰려가 파괴하였다.

일본 경찰은 다시 군중에 무차별 총격을 가하였다. 김기범은 시위대에 앞장서 나아가다 피격되어 쓰러졌다. 김기범은 마지막 숨을 몰아쉬며 삼가 제방까지 기어갔으나 결국 숨지고 말았다.

광복 이듬해 3월 1일 생비량면민들이 그의 묘 앞에 '순국열사 김기범의 묘'라는 순절비(殉節碑)를 세워 열사의 애국심을 추모하였다.

상훈과 추모

1993년 건국훈장 애국장이 추서되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자료집』 5(국가보훈처, 1972)
독립운동사편찬위원회, 『독립운동사』 3(국가보훈처, 1971)

논문

이정은, 「경남 합천의 3.1운동」(『한국독립운동사연구』 3,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89)

인터넷 자료

공훈전자사료관(http://e-gonghun.mpva.go.kr)
집필자
이정은((사)3.1운동기념사업회)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