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지 ()

목차
관련 정보
학교교육
개념
국민의 지적 수준.
이칭
이칭
인민지혜(人民智慧)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민지(民智)는 국민의 지적 수준을 말하며, 인민지혜(人民智慧)의 줄임말이다. 20세기 초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대중 계몽과 학교교육을 통하여 확산된 개념이다. 변법자강운동 이후 일본으로 망명한 중국 사상가 양계초가 근대적 국민형성을 위하여 민지를 넓힐 것을 강조하였는데, 당시 우리나라 지식인들도 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목차
정의
국민의 지적 수준.
내용

민지는 국민의 지적 수준을 말하며, 인민지혜의 줄임말이다. 을사조약 이후 국권 침탈에 대응하기 위하여 다양하게 나타난 애국계몽운동의 일환으로 당시의 지식인들은 대중계몽과 학교교육을 통하여 ‘민지’를 계발하고자 하였다.

민지라는 단어는 1898년 변법자강운동의 실패 이후 일본으로 망명한 중국 사상가 양계초(梁啓超)가 근대적 국민 형성을 위한 민간 계몽활동의 일환으로 민권(民權)을 강조하였는데, 그 핵심은 민지(民智)를 넓히고 민기(民氣)를 진작시키는 것이었다. 양계초의 『신민설(新民說)』 등에서 보이는 민권 개념은 근대국가의 인민들이 갖춰야 할 천부적 자격으로, 당시 우리나라의 계몽주의적 선각자들에게도 많은 영향을 끼쳤다.

1902년 3월 21일자 『 황성신문』에는 '필수민지개명(必須民智開明)하며'라는 내용이 보이고, 1905년 이후 『황성신문』과 『 대한매일신보』 등에도 ‘민지’라는 단어가 자주 등장하고 있다.

특히 1906년 5월 설립된 「대한자강회 취지서(大韓自强會趣旨書)」에서는 '무릇 교육이 흥하지 못하면 민지가 미개하고'라 하여, 교육을 통한 민지의 개발을 논하고 있다. 이 취지서는 '민지를 열고 국력을 양성하는 길은 교육과 산업의 발달'이라는 두 가지 기둥으로 뒷받침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다.

‘민지’라는 용어는 민지개도(民智開導), 민지일개(民智日開), 민지개명(民智開明), 민지유명(民智牖明), 민지발달(民智發達), 민지계발(民智啓發) 혹은 민지미개(民智未開), 민지부루(民智腐陋)와 같은 사자성어 형태로도 보이는데, 이는 민지라는 용어도 미개-반개화-개화라는 사회진화론적 관념의 영향을 받았음을 알게 해준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민족독립운동사』 11(국사편찬위원회, 1992)

논문

한효 · 우림걸, 「양계초 저술에 나타난 아동관과 아동 문학론」(『반교어문연구』 44, 반교어문학회, 2016)
조병한, 「양계초의 국민국가론과 민권 · 민족 관념」(『서강인문논총』 22, 서강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7)
김찬기, 「근대계몽기 신문 잡지 소재 인물 기사 연구」(『어문논집』 50, 민족어문학회, 2004)

신문 · 잡지

『황성신문』(1902. 3. 2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