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 ( )

선사문화
작품
국가유산
1980~1981년 출토작업을 한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고분군 11호분에서 출토된 금동관.
작품/조각·공예
창작 연도
5세기
소장처
국립김해박물관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釜山 福泉洞 出土 金銅冠)
분류
유물/생활공예/금속공예/장신구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보물(2016년 11월 16일 지정)
소재지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의길 190 (구산동, 국립김해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부산 복천동 출토 금동관은 1980~1981년 출토작업을 한 부산광역시 동래구에 있는 복천동 11호분에서 출토된 신라 금동관이다. 관테 위에 나뭇가지 모양 세움장식 3개가 못으로 고정되어 있다. 신라의 금동관 가운데 가장 이른 단계의 유물이다. 매우 정교한 기술로 제작된 것이어서 신라의 왕도 소재 공방에서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2016년 11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국립김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정의
1980~1981년 출토작업을 한 부산광역시 동래구 복천동 고분군 11호분에서 출토된 금동관.
제작 배경

5세기 전반 신라의 왕족과 귀족, 지방의 유력자들은 자신들의 위세를 드러내기 위하여 귀금속으로 만든 화려한 장신구를 소유하였다. 장신구의 대부분은 왕도인 경주의 귀금속 공방에서 만들어졌다.

내용

이 금동관이 출토된 부산 복천동 10 · 11호분은 으뜸덧널[주곽(主槨)]과 딸린덧널[부곽(副槨)]로 구성된 대형분이다. 으뜸덧널인 11호분은 구덩식 돌덧널[수혈식석곽(竪穴式石槨)]이고 딸린덧널인 10호분은 덧널[목곽(木槨)]이다.

금동관은 장식대도, 철검, 철정(鐵鋌), 철촉이 든 화살통 등과 함께 으뜸덧널 안에 묻혀 있었다. 세부적으로는 무덤 주인공의 머리 우측에 놓인 철정 위에서 정면부가 남동쪽을 향하여 정치된 상태로 발견되었다. 신라의 금동관 가운데 잔존 상태가 양호한 편에 속한다.

형태 및 특징

파상문(波狀文)과 점열문(點列文)이 새겨진 관테[臺輪] 중앙과 좌우에 나뭇가지를 도안화한 세움장식[立飾]이 못 2개로 고정되어 있다. 세움장식에는 3단의 곁가지가 있는데 끝이 아래로 쳐져 있다. 줄기의 맨 꼭대기에는 보주형(寶珠形) 장식이 있고 그 속에 삼엽문(三葉文)이 표현되어 있다. 그간 발굴된 신라 금동관 가운데 이 관과 동일한 도안을 갖춘 것은 찾기 어렵다. 다만 황남대총 남분 출토 금동관, 경주 교동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금관과는 부분적으로 유사하다.

의의 및 평가

신라의 황금문화가 개시되는 시점의 금동관이다. 도안 및 제작기술로 보아 신라 금동관의 초기 사례에 해당한다. 이 금동관은 신라가 부산 지역을 영역화해 나가는 과정을 보여주는 실물 자료이다. 2016년 11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고, 국립김해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단행본

『동래 복천동고분군Ⅰ』(부산대학교박물관, 1983)
집필자
이한상(대전대 교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