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비비총제 ()

목차
관련 정보
조선시대사
제도
18세기 중후반, 내시 노비를 대상으로 추쇄관의 파견을 중지하고 기준연도의 노비 총수에 입각하여 수령이 신공 수취를 담당하도록 한 조치.
내용 요약

노비비총제(奴婢比摠制)는 내시 노비의 변동을 파악하기 위해 조정에서 추쇄관을 파견하던 방식을 중지하고, 특정 해의 노비 수를 기준으로 매년 같은 신공을 징수하던 제도이다. 추쇄관 파견은 지방관청에게도 큰 재정적 부담이었고, 중앙정부 입장에서도 실효성이 떨어졌다. 이에 추쇄가 점차 형식적인 절차로 변해 갔고, 마침내 중앙정부는 매년 일정한 노비 신공을 확보할 수 있는 비총제를 시행하였다.

정의
18세기 중후반, 내시 노비를 대상으로 추쇄관의 파견을 중지하고 기준연도의 노비 총수에 입각하여 수령이 신공 수취를 담당하도록 한 조치.
개설

노비 신공은 꾸준히 하락하여 그 부담이 일반 양역(良役)의 수준에 점진적으로 수렴하고 있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추쇄관(推刷官) 파견을 통한 노비 확보가 여러 가지 문제를 드러내자, 18세기 중후반 조선 정부는 내시 노비(內寺奴婢)를 대상으로 도 단위의 비총제(比摠制)를 채택해 추쇄관 주9을 중지하고 그 업무를 수령에게 위임하여 안정적인 주6 액수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내용

17세기 말부터 공노비 신공(身貢)은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추세였다. 특히 1750년(영조 26) 균역법으로 양인군포 부담이 2필에서 1필로 낮아지자, 노비 신분층의 신공 부담이 상대적으로 무거워지는 결과가 되었다. 결국 공노비에 대해서도 1755년 주1은 1필 반에서 1필로, 주2은 1필에서 반필로 줄여 주었고, 1774년(영조 50)에는 비공을 전감(全減)하였다. 이제부터 노비의 신공과 양인의 군포는 모두 남정 1구당 1필로 동일해졌다. 하지만 지역에 파견된 추쇄관은 추쇄 과정에서 여러 가지 문제를 일으켰으며, 이는 노비의 도망을 부채질하는 가장 큰 요인이었다. 예컨대, 이미 도망가거나 사망한 노비를 총액에서 줄여 주지 않고 남은 노비들에게 그 부담을 전가하거나, 뇌물을 받고 노비를 빼 주는 일이 발생하였다. 심한 경우에는 양인을 협박해 억지로 노비로 기재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추쇄관 주10으로 인한 폐단이 만연하자, 1745년(영조 21) 영남 지역 주3를 대상으로 비총제(比摠制)가 적용되기에 이른다. 비총제는 기본적으로 정부가 정한 특정 해의 노비 총액을 기준으로 매년 추쇄관의 파견 없이 같은 신공을 부과하는 방식이었다. 당시에는 1740년(영조 16)의 노비 액수를 기준으로 읍별 액수는 조정 가능하지만, 도내 전체 노비 수에는 변동이 없게 하는 도비총(道比摠)의 형태로 시행되었다. 추쇄관 파견을 중지하고 관찰사의 감독하에 수령이 노비의 조사 · 충당 및 신공 수취를 주관하였다. 수령은 노비안(奴婢案)의 부실화를 방지해야 하는 책임이 있었고 추가로 확보된 노비를 감추는 것은 금지되었다. 노비의 파악이 호조-감사-수령의 계통으로 이루어지자, 정기적인 추쇄는 6년에 1회씩 감사가 주관하여 실시되고 중앙에서는 10년에 1회 어사를 파견하여 수령과 감사의 업무를 감독하도록 하였다. 당시 비총제의 목적은 일정액의 노비공 액수를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노비들에 대한 주11을 방지하는 데 있었다.

시노비에 대한 비총제는 1765년(영조 41) 전라도와 충청도까지 확대되었고 1774년(영조 50) 이후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내노비에 대한 비총제는 우여곡절 끝에 1778년(정조 2) 마침내 실시되었다. 내노비 총수는 1775년(영조 51)의 액수가 기준이 되었고, 이때에도 노비를 채워 넣는 업무는 수령에게 맡겨졌다. 주4는 폐지되었으며, 수령의 주5는 감사가 감독하였다. 노비안은 연 1회 개수하여 순영에 보고되면 순영은 10년 단위로 이를 취합 · 성책하여 내수사와 형조로 올려 보내도록 하였다. 노비안을 수정하는 데에 들어가는 비용은 10년에 1회씩, 노비들에게 1인당 0.5냥씩 징수하도록 하였다. 새로 색출하여 확보한 노공은 영남의 여노포(餘奴布, 정액 이외에 남는 노의 공포)의 사례에 따라 해당 읍에서 순영에 보고하여 비변사에서 관할하도록 하고 수령이 은닉하지 못하도록 하였다.

의의와 평가

노비비총제 시행 이후 지역에서는 유출된 노비의 신공을 군현 공동으로 충당하는 경우가 발생하였고, 이 과정에서 부족한 노비를 양인으로 대신하거나 공유재를 조성하여 공동 납부하는 방식도 등장하였다. 즉, 군현 단위로 부과되는 신공 총액만 맞추면 됐기 때문에 1인당 납부액이 같아진 상황에서 더 이상 노비와 양인을 구분하는 것이 무의미해진 것이다. 이로 인해 내시노비 혁파론이 대두되기 시작하였고, 마침내 1801년(순조 1) 내시노비의 전격적인 주7로 귀결되었다.

참고문헌

원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내시노비감공급대사목(內寺奴婢減貢給代事目)』
『팔도내노비추쇄관혁파절목(八道內奴婢推刷官革罷節目)』
『팔도내노비을해절목중비총구수(八道內奴婢乙亥節目中比摠口數)』
『충청도내시노비절목(忠淸道內寺奴婢節目)』

단행본

平木実, 『朝鮮後期 奴婢制 硏究』(지식산업사, 1982)
전형택, 『朝鮮後期奴婢身分硏究』(일조각, 1989)

논문

도주경, 「18세기 내시노비 비총제의 시행과 운영」(『조선시대사학보』 88, 조선시대사학회, 2019)
송양섭, 「정조의 왕실재정 개혁과 ‘궁부일체’론」(『대동문화연구』 76,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1)
송양섭, 「18세기 比摠制의 적용과 齊民政策의 추진」(『한국사학보』 53, 고려사학회, 2013)

인터넷 자료

기타 자료

주석
주1

조선 시대에, 노비들이 입역(立役)의 의무 대신 자신의 소유주에게 납부하던 공물. 독립된 가정을 가진 공노비의 경우에는 신역(身役) 대신에 포(布), 저화(楮貨) 따위로 일정한 대가를 치르도록 하되 사섬시에서 이를 맡아보았으며, 사노비의 경우에는 그 주인에게 바쳤다. 우리말샘

주2

조선 시대에, 여자 종의 몸값으로 지급하던 무명이나 베. 우리말샘

주3

조선 시대에, 사섬시 등 중앙의 각 시(寺)에 둔 노비. 우리말샘

주4

명부에 일일이 점을 찍어 가며 사람의 수를 조사함. 우리말샘

주5

부지런함과 게으름. 우리말샘

주6

조선 시대에, 노비들이 입역(立役)의 의무 대신 자신의 소유주에게 납부하던 공물. 독립된 가정을 가진 공노비의 경우에는 신역(身役) 대신에 포(布), 저화(楮貨) 따위로 일정한 대가를 치르도록 하되 사섬시에서 이를 맡아보았으며, 사노비의 경우에는 그 주인에게 바쳤다. 우리말샘

주7

묵은 기구, 제도, 법령 따위를 없앰. 우리말샘

주8

나라에서 장정에게 부과하던 공물(貢物). 우리말샘

주9

일정한 임무를 주어 사람을 보냄. 우리말샘

주10

밑으로 내려보냄. 우리말샘

주11

침범하여 빼앗음.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