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주문견록 ()

조선시대사
문헌
후금과의 심하전쟁에 출정하였던 종사관 이민환이 후금 지역에서 경험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한 보고서. 정책서.
정의
후금과의 심하전쟁에 출정하였던 종사관 이민환이 후금 지역에서 경험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한 보고서. 정책서.
개설

『건주문견록(建州聞見錄)』은 1619년 강홍립의 종사관으로 심하전쟁에 출정하였다가 패전하고 포로로 잡혀 있다가 1620년(광해군 12) 7월에 귀환한 이민환이 『책중일록』과 함께 저술한 책이다. 책의 대부분은 건주(建州) 지역에서 경험한 각종 정보들을 기록한 것이며, 그 말미에 후금(後金)의 침입에 대비한 방어 전략과 군대 양성 및 훈련에 관한 6개조의 정책 건의서를 붙였다.

편찬/발간 경위

이민환(李民寏)은 1619년 2월, 명나라의 징병에 의해 도원수 강홍립(姜弘立)의 종사관(從事官)으로 후금에 출정하였다. 그러나 3월 4일 부차(富車) 들판에서 벌어진 심하전쟁(深河戰爭)에서 패전하여 포로가 되었다. 그는 1년 반 동안 포로수용소에서 고초를 겪은 뒤 1620년 7월에 풀려나 귀환하였으나, 패전 책임으로 장기간 탄핵을 받았다. 이 때문에 그는 서울에 오지 못하고 평안도에서 유랑하며 『책중일록(柵中日錄)』과 『건주문견록』을 저술하였다. 전자는 출정에서부터 귀환 때까지의 일기이며, 후자는 자신이 경험한 후금 지역의 정보 보고서 겸 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방어 정책 건의서이다. 그는 자신의 처지를 변명하고 후금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해 이 두 책을 조정에 올리려고 하였지만, 끝내 올리지 못하였다.

서지적 사항

『건주문견록』은 1권 분량의 책으로, 처음에는 필사본으로 전하다가 후에 그의 문집 『자암집(紫巖集)』이 간행되면서 제6권에 수록되었다. 이 책은 『책중일록』의 부록이라고도 할 수 있는데, 『책중일록』이 하나의 일기체 역사서라면, 『건주문견록』은 일종의 지리지(地理誌)와 같은 책이다. 그 말미에 당시의 탄핵에 대해 자신의 입장을 해명한 「월강후추록(越江後追錄)」이 첨부되어 있다.

내용

『건주문견록』의 앞부분에는 심하, 노성(奴城, 허투알라), 자편성(者片城) 일대를 중심으로 한 건주 지역의 산과 강, 평야, 기후, 도로, 거리, 도성과 기타 성곽, 군사 시설 등 자연지리 환경과 인문지리 정보가 많이 수록되어 있다. 그리고 이 지역의 가옥 형태와 의복, 두발 모양, 장신구 등 여진족의 의식주 생활과 민속이 잘 기록되어 있다. 또한 농업과 목축, 채소와 과일 등의 재배와 길쌈, 야철 등의 수공업에 관한 정보 그리고 여진족의 신앙, 제사, 장례, 혼인 등의 습속도 충실히 담고 있다. 이러한 자연·인문의 지리적 정보는 청나라 초기 건주 지역의 지리적 환경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여기에는 누르하치와 그의 가족 및 부하들의 용모, 행태, 성격, 습성 등에 대한 관찰도 포함되어 있고, 누르하치의 후계 구도에 대해서도 언급하고 있다. 또한 후금군의 군사 편제와 전술 운용에 관한 내용도 많이 실려 있는데, 8기(八旗)와 니루[류루(柳累)]의 지휘관, 지휘체계, 무기와 신호, 병참, 전술의 기본 원리와 전투 기술, 군사들의 기질, 논공행상, 엄격한 처벌 제도 등이 수록되어 있다.

후금의 침략에 대비해 이민환이 조정에 건의한 6개조의 방어 및 군사 양성 정책은 산성을 수축하는 일, 군마를 사육하고 강화하는 일, 정예 군사를 양성하는 일, 평안도와 함경도의 토병을 육성하는 일, 우수한 무기를 제조하는 일, 군인들의 무예 훈련 등이었다. 이는 이민환 자신이 전장에서 직접 경험한 조선군의 약점과 적군의 강점을 비교, 관찰한 데서 얻어진 것이었다.

이 책의 말미에 첨부한 「월강후추록」은 이민환이 포로 생활에서 풀려나 귀국한 이후 자신의 처지를 변호하기 위해 지어 붙인 글이다. 당시 그는 패전과 항복에 대한 책임 때문에 탄핵을 받았고 각종 불리한 소문에 시달리고 있었으므로, 조목조목 그 부당함을 지적하고 해명하였다.

의의와 평가

이 책은 1619년 심하전쟁을 전후한 시기의 조선과 후금의 군사적 동향을 비롯하여 후금 지역의 다양한 자연·인문 지리적 정보가 수록되어 있으므로 청나라 초기 건주 지역의 정치 군사 및 지리적 환경을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된다. 또한 전쟁을 실제로 경험한 그가 조정에 건의한 방어 정책 건의를 통해 당시 조선의 군사적 문제와 개선 방안을 잘 알 수 있다.

참고문헌

『광해군일기(光海君日記)』
『인조실록(仁祖實錄)』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자암집(紫巖集)』
『책중일록(柵中日錄)』
『1619년 심하 전쟁과 포로수용소일기 책중일록』(이영춘 외, 서해문집, 2014)
집필자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