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령성당 ()

목차
관련 정보
천주교
단체
1899년, 황해도 재령군 재령읍 문창리(文昌里)에 있던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 침묵의 성당.
이칭
이칭
재령 본당, 재령 천주교회
단체
설립 시기
1899년 4월 22일
해체 시기
1950년 10월
설립자
뮈텔(G. Mutel, 閔德孝)
설립지
황해도 재령군 재령읍 문창리
상위 단체
조선교구(현 서울대교구)
소재지
황해도 재령군 재령읍 문창리
전신
재령 공소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재령성당(載寧聖堂)은 1899년, 황해도 재령군 재령읍 문창리(文昌里)에 있던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 침묵의 성당이다. 1895년에 설정된 재령 공소에 연원을 두고 있으며, 1899년 4월 22일 재령성당으로 승격되었다. 1950년 10월 5일 7대 주임 양덕환 신부가 공산당원들에게 납치되어 피살되면서 침묵의 성당이 되었다.

목차
정의
1899년, 황해도 재령군 재령읍 문창리(文昌里)에 있던 천주교 서울대교구 소속 침묵의 성당.
설립 경위

황해도 재령군 지역에 천주 신앙이 전파된 것은 천주교에 대한 박해가 끝난 신앙 자유기로, 1890년대부터 곳곳에서 천주교 개종 운동이 일어나면서 신앙 공동체가 형성되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황해도평안도 지역의 주1을 담당하고 있던 파리외방전교회(M.E.P.)의 르 장드르(Le Gendre L., 崔昌根 루도비코) 신부는 1895년에 재령 공소(載寧公所)를 설정했다. 1896년 황해도에 마렴성당(1897년 매화동성당으로 개칭)이 설립되면서 여기에 속했다가 1899년 4월 22일 제8대 조선교구장 주교 뮈텔(Mutel, G., 閔德孝 아우구스티노)에 의해 ‘재령성당’으로 승격됨과 동시에 초대 주임으로 르 각(Le Gac, C., 郭元良 가롤로) 신부가 부임하였다.

변천

르 각 신부는 부임 3개월 만에 초등학교(옛 모성학교(慕聖學校)의 전신)를 설립하고 각처에 공소를 설정했으며, 1900년 봄 봉산의 검수(劍水)성당(사리원성당의 전신)을 분리하였다. 그러나 그는 황해도 천주교회와 지방 관아 사이의 갈등에서 야기된 해서교안(海西敎案)으로 인해 안팎으로 어려움을 겪었다.

1905년 8월 2대 주임으로 부임한 멜리장(Mélizan, P., 梅履霜 베드로) 신부는 폐쇄된 절을 매입하여 성당으로 개조하였고, 기존의 초등학교를 모성학교로 인가받아 운영하였다. 그러나 재정난으로 인해 학교는 1918년에 폐교하였다. 이어서 1921년 5월에 부임한 3대 주임 신성우(申聖雨, 마르코) 신부는 유치원 성격의 동명학원(東明學院, 1927년 3월 폐원)과 야학 등을 운영하였으며, 청년회, 소녀회 등을 설립하였다.

1930년 6월 신성우 신부가 신천(信川)성당으로 전임되면서 잠시 이 성당의 공소가 되었다가, 1933년 2월 방유룡(方有龍, 레오) 신부가 4대 주임으로 부임하면서 성당으로 재설립되었다. 방유룡 신부는 성당을 증축하고 청년회 활성화와 지역 선교에 노력하였다. 그 뒤를 이어 1936년 5월 10일 임명된 5대 주임 박정열(朴貞烈, 바오로) 신부는 신자가 운영하던 삼성의원(三省醫院)을 인수하여 성심의원(聖心醫院)으로 개원한 뒤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의 수녀들을 초청하여 운영하였다.

일제강점기 말과 광복 시기에는 1943년 1월에 임명된 6대 주임 김경민(金景旻, 루도비코) 신부가 재령성당의 사목을 맡았고, 그 뒤를 이어 1946년 5월 양덕환(梁德煥, 안드레아) 신부가 7대 주임으로 임명되었다. 얼마 뒤 북한 공산 정권이 수립되고 샬트르 성 바오로 수녀회 수녀들이 철수한 데 이어 1950년 6월 한국전쟁이 발발하였다. 양덕환 신부는 위험에 처했지만, 신자들의 피신 권유를 물리치고 성당에 남았으며, 10월 5일 공산당원들에게 납치된 뒤 피살되었다. 이후 재령성당은 침묵의 성당이 되었으며, 같은 해 10월 중순 유엔군을 따라 온 김피득(金彼得, 베드로) 신부가 약 1개월 동안 거처하며 사목하였다.

7대 주임을 역임한 양덕환 신부는 한국 천주교의 ‘하느님의 종’으로 선정되어 현재 시복 시성이 추진되는 중이다.

참고문헌

단행본

한국가톨릭대사전 편찬위원회 편, 『한국가톨릭대사전』 2 (한국교회사연구소, 2004)
한국교회사연구소 편, 『황해도천주교회사』 (황해도천주교회사간행사업회, 1984)

논문

양인성, 「교회의 정비」 (『한국천주교회사』 4, 한국교회사연구소, 2011)
「양덕환 안드레아 신부」 (한국천주교주교회의 시복시성주교특별위원회, 『하느님의 종 홍용호 프란치스코 보르지아 주교와 동료 80위 시복 자료집』 3, 2022)
주석
주1

천주교나 성공회에서, 사제가 신도를 통솔ㆍ지도하여 구원의 길로 이끄는 일. 우리말샘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