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경고적기 ()

목차
관련 정보
불교
문헌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태현(太賢)이 『화엄경』에 대한 주석들을 모아 자신의 견해를 덧붙인 주석서. 불교서.
이칭
약칭
화엄고적(華嚴古迹)
문헌/고서
편찬 시기
8세기경
저자
태현
권책수
10권 혹은 5권
내용 요약

『화엄경고적기』는 남북국시대에 통일신라 승려 태현이 『화엄경』에 대한 주석들을 모아 자신의 견해를 덧붙인 주석서이다. 태현은 원효(元曉), 경흥(憬興)과 함께 신라의 3대 저술가로 꼽힌다. 유가종(瑜伽宗)의 승려로서 유식사상과 불교 논리학인 인명(因明)에 관한 저술을 주로 남겼다. 태현의 저술은 총 43부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지며 그중에는 ‘고적기(古迹記)’라는 제목이 붙은 저서들이 다수 보인다. 이 가운데 현존하는 것은 5부이다. 그러나 『화엄경고적기(華嚴經古迹記)』는 전하지 않아 그 내용을 알 수 없다.

정의
남북국시대, 통일신라 승려 태현(太賢)이 『화엄경』에 대한 주석들을 모아 자신의 견해를 덧붙인 주석서. 불교서.
개설

태현원효(元曉, 617∼684), 경흥(憬興)과 함께 신라의 3대 저술가로 꼽힌다. 유가종(瑜伽宗)승려로서 유식사상과 불교 논리학인 인명(因明)에 관한 저술을 주로 남겼다. 그 밖의 다양한 경론에 대해서도 많은 저술을 남겼다.

태현의 저술은 총 43부(部)에 이르는 것으로 전해지며 그중에는 ‘고적기(古迹記)’라는 제목이 붙은 저서들이 다수 보인다. 이 가운데 현존하는 것은 5부이다. 현존하고 있는 5부는 『범망경고적기(梵網經古迹記)』 2권(卷), 『보살계본종요(菩薩戒本宗要)』 1권, 『약사경고적기(藥師經古迹記)』 2권, 『성유식론학기(成唯識論學記)』 8권,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大乘起信論內義略探記)』 1권이다. 그러나 『화엄경고적기(華嚴經古迹記)』는 전하지 않아 그 내용을 알 수 없다.

서지적 사항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教藏總錄)』 권1 「해동유본경행록(海東有本見行錄)」 상(『대정신수대장경』 55)에는 10권 혹은 5권으로 소개하고 있고, 『불전소초목록(佛典疏抄目錄)』 상(『대일본불교전서』 1)에는 ‘화엄고적 십권(華嚴古迹十卷)’으로 소개되어 있을 뿐이다.

내용

태현의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가 법장(法藏, 주1의 『대승기신론의기(大乘起信論義記)』의 주석을 먼저 소개한 뒤 그와 다른 관점이 있을 경우, 원효의 견해를 제시하는 등 기존의 주석서들을 종합 정리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따라서 『화엄경고적기』 역시 그와 유사한 체제를 따르고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의의와 평가

『화엄경고적기』는 ‘고적기’라는 제목을 통해 그 저자가 자신의 견해를 앞세우지 않고 종합적이면서 개방적인 학풍을 유지하려 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원전

義天, 『新編諸宗敎藏總錄』

단행본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태현 지음, 박인석 옮김, 『대승기신론내의약탐기』(동국대학교출판부, 2011)
주석
주1

중국 당나라 때의 승려(643~712). 속성은 강(康). 호는 현수(賢首). 화엄종의 제3조로, 지엄에게서 화엄경을 배웠다. 670년에 칙령에 의하여 출가한 뒤 교학의 대성에 힘썼으며 현장, 일조, 실우난타 등의 역경(譯經) 사업에도 참여하였다. 저서에 ≪화엄오교장(華嚴五敎章)≫, ≪화엄경탐현기(華嚴經探玄記)≫ 따위가 있다. 우리말샘

집필자
박보람(충북대학교 교수, 화엄학)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