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제종교장총록 ()

신편제종교장총록
신편제종교장총록
불교
문헌
고려전기 승려 의천이 고려와 송 · 요 · 일본 등에서 불교 자료를 수집하여 편찬한 불교서. 목록집.
이칭
이칭
속장목록(續藏目錄), 의천록(義天錄)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고려전기 승려 의천이 고려와 송 · 요 · 일본 등에서 불교 자료를 수집하여 편찬한 불교서. 목록집.
서지적 사항

3권 1책. ‘속장목록(續藏目錄)’ · ‘의천록(義天錄)’이라고도 한다. 고간본(古刊本)이 우리나라에 전하는 것은 없다.

일본 다카야마사(高山寺)에는 1176년(명종 6)의 필사본과 1644년(인조 22)의 필사본이 있으며, 간본으로는 1693년(숙종 19)에 간행된 것과 이를 바탕으로 삼고 다른 필사본과 대조하여 『대일본불교전서(大日本佛敎全書)』와 『대정신수대장경(大正新修大藏經)』에 수록한 것이 있다.

편찬/발간 경위

의천은 1073년(문종 27)에 「대세자집교장발원소(代世子集敎藏發願疏)」를 짓고 17년 동안 우리나라와 송(宋) · 요(遼) · 일본 등에서 유행하던 장소(章疏)들을 널리 수집하여 이 책을 편찬하였다.

의천은 그 동안 모은 책들을 간행하기 위한 선행작업으로 이 목록집을 만들었으며, 중국의 목록집으로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는 『개원석교록(開元釋敎錄)』이 있다. 『개원석교록』이 경(經) · 율(律) · 논(論)에 대한 목록인 데 비하여, 이 책은 경 · 율 · 논에 대한 연구와 주석서를 망라한 점에서 의의를 가지며, 단순한 기존 자료의 목록이 아니라, 여러 나라에 흩어져 있던 장소를 찾아 수집하였다는 데 큰 뜻이 있다.

이 목록집이 우리나라에서 언제 없어졌는지 알 수 없으나, 근래에 간행된 『조선불교총서간행예정서목(朝鮮佛敎總書刊行豫定書目)』에 수록되어 보급되고 있다.

일본에는 이 책이 일찍부터 전해져 헤이안[平安]시대 말기 이후 필사본으로 유행되다가, 1693년에 이노우에(井上忠兵衛)에 의하여 간행되었고, 그 뒤 일본 학자들은 장소류(章疏類)의 유무를 이 목록집에 의거하여 파악하였다.

내용

이 목록집에는 상권에 경에 관한 장소 561부 2,703권을 수록하였고, 중권에는 율에 관한 장소 142부 467권, 하권에는 논에 관한 장소 307부 1,687권 등을 수록하여 총 1,010부 4,857권의 책명이 있다.

이 목록집이 귀중한 자료로 높이 평가되는 이유는, 다른 목록집에는 수록되지 않은 장소(章疏)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신라 승려의 장소 181부가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 이 목록집에만 들어 있는 것이 90부나 된다. 그 책명은 〈표〉와 같다.

책명 저자
사분률갈마기(四分律羯磨記) 지명(智明) 1
십송률목차기(十誦律木叉記) 자장(慈藏) 1
사분률갈마기(四分律羯磨記) 원승(圓勝) 2
사분률우목차기(四分律木叉記) 원승(圓勝) 1
범강경기(梵綱經記) 원승(圓勝) 1
성유식론별장(成唯識論別章) 원측(圓測) 1
반야심경소(般若心經疏) 원효(元曉) 1
법화경방편품료간(法華經方便品料簡) 원효(元曉) 1
반주삼매경소(般舟三昧經疏) 원효(元曉) 1
방광경소(方廣經疏) 원효(元曉) 1
범강경략소(梵綱經略疏) 원효(元曉) 1
조복안심론(調伏安心論) 원효(元曉) 1
장진론종요(掌珍論宗要) 원효(元曉) 1
성유식론종요(成唯識論宗要) 원효(元曉) 1
대승기신론종요(大乘起信論宗要) 원효(元曉) 1
대승기신론소과문(大乘起信論疏科文) 원효(元曉) 1
대승기신론료간(大乘起信論料簡) 원효(元曉) 1
대승기신론대기(大乘起信論大記) 원효(元曉) 1
이체장(二諦章) 원효(元曉) 1
안신사심론(安身事心論) 원효(元曉) 1
구도비유론(求道譬喩論) 원효(元曉) 1
약사경소(藥師經疏) 경흥(憬興) 1
금광명경략의(金光明經略意) 경흥(憬興) 1
사분률갈마기(四分律羯磨記) 경흥(憬興) 1
사분률습비니요(四分律拾毘尼要) 경흥(憬興) 3
대승기신론문답(大乘起信論問答) 경흥(憬興) 1
입법계품초기(入法界品鈔記) 의상(義湘) 1
화엄십문간법관(華嚴十門看法觀) 의상(義湘) 1
아미타경의기(阿彌陀經義記) 의상(義湘) 1
대열반경료간(大涅槃經料簡) 현일(玄一) 1
유가론소(瑜伽論疏) 현일(玄一) 17
법화경료간(法華經料簡) 순경(順憬) 1
성유식론의원초(成唯識論義苑鈔) 오진(悟眞) 3
인명론비궐략초(因明論備闕略鈔) 오진(悟眞) 2
법원의림집현초(法苑義林集玄鈔) 오진(悟眞) 3
화엄요의문답(華嚴要義問答) 지통(智通) 2
화엄일승문답(華嚴一乘問答) 도신(道身) 2
법화경강목(法華經綱目) 의숙(義寂) 1
화엄경강목(華嚴經綱目) 의숙(義寂) 2
미륵상생경료간(彌勒上生經料簡) 의숙(義寂) 1
백법론총술(百法論總述) 의숙(義寂) 3
백법론주(百法論注) 의숙(義寂) 1
반약리취분경소(般若理趣分經疏) 도증(道證) 1
법화경소(法華經疏) 도륜(道倫) 3
금강삼매경주(金剛三昧經注) 도륜(道倫) 4
승만경소(勝鬘經疏) 도륜(道倫) 2
아미타경소(阿彌陀經疏) 도륜(道倫) 1
유마경료간(維摩經料簡) 도륜(道倫) 1
금광명경략기(金光明經略記) 도륜(道倫) 1
약사경소(藥師經疏) 도륜(道倫) 1
성유식론요결(成唯識論要決) 도륜(道倫) 2
잡기(雜記) 도륜(道倫) 9
화엄진류화엄악도(華嚴眞流華嚴樂圖) 연기(緣起) 1
화엄경요결(華嚴經要決) 연기(緣起) 12
화엄개종결의(華嚴開宗決疑) 연기(緣起) 30
대승기신론주강(大乘起信論珠綱) 연기(緣起) 3
기신론사번취요(起信論捨繁取要) 연기(緣起) 1
반약리취분경주(般若理趣分經注) 태현(太賢) 2
금강반약고적기(金剛般若古迹記) 태현(太賢) 1
금강경신역고적기(金剛經新譯古迹記) 태현(太賢) 1
인왕반약경고적기(仁王般若經古迹記) 태현(太賢) 1
반야심경고적기(般若心經古迹記) 태현(太賢) 1
법화경고적기(法華經古迹記) 태현(太賢) 4
화엄경고적기(華嚴經古迹記) 태현(太賢) 10
대무량수경고적기(大無量壽經古迹記) 태현(太賢) 1
관무량수경고적기(觀無量壽經古迹記) 태현(太賢) 1
아미타경고적기(阿彌陀經古迹記) 태현(太賢) 1
칭찬정토경고적기(稱讚淨土經古迹記) 태현(太賢) 1
미륵상생경고적기(彌勒上生經古迹記) 태현(太賢) 1
미륵하생경고적기(彌勒下生經古迹記) 태현(太賢) 1
미륵성불경고적기(彌勒成佛經古迹記) 태현(太賢) 1
금광명경적기(金光明經迹記) 태현(太賢) 4
촬대승론석고적기(撮大乘論釋古迹記) 태현(太賢) 1
촬대승론석고적기(撮大乘論釋古迹記) 태현(太賢) 1
현양론고적기(顯揚論古迹記) 태현(太賢) 2
성업론고적기(成業論古迹記) 태현(太賢) 1
법원의림석명장(法苑義林釋名章) 태현(太賢) 2
대승일미장(大乘一味章) 태현(太賢) 1
화엄경의강(華嚴經義綱) 가귀(可歸) 1
범망경기(梵網經記) 단목(端目) 2
화엄경요결(華嚴經要決) 범여(梵如) 6
화엄경석명장(華嚴經釋名章) 의융(義融) 1
유가론문적(瑜伽論文迹) 혜경(慧景) 1
대열반경의집(大涅槃經義集) 극태(極太) 7
순정이론초(順正理論鈔) 극태(極太) 10
대비파사론초(大毘婆沙論鈔) 극태(極太) 10
유가론우족초(瑜伽論羽足鈔) 극태(極太) 5
대열반경초(大涅槃經鈔) 현범(玄範) 2
법장화상전(法藏和尙傳) 최치원(崔致遠) 1
부석존자전(浮石尊者傳) 최치원(崔致遠) 1
〈표〉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에만 수록된 신라인(新羅人) 찬술(撰述) 장소(章疏)

이 밖에도 거란인들의 장소 59부의 책명이 수록되어 있어 자료적 가치성이 더욱 소중하게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대각국사문집(大覺國師文集)』(의천)
『나려(羅麗)인쇄술의 연구』(천혜봉, 경인문화사, 1980)
「신편제종교장총록(新編諸宗敎藏總錄)」(민영규, 『한국의 고전백선』, 탐구당, 1969)
「신라장소록장편(新羅章疏錄長編)」(민영규, 『백성욱(白性郁)박사송수(頌壽)기념불교학논문집』, 1959)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