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봉시집 ()

불교
문헌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생존한 승려 만우의 시를 수록한 시집. 불교시집.
목차
정의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생존한 승려 만우의 시를 수록한 시집. 불교시집.
서지적 사항

『천봉시집(千峰詩集)』은 1권으로 되어 있으나 현재 전하지 않는다.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권250에 “『천봉집(千峰集)』 1권은 고려 승려 만우가 지었다. 호는 천봉이다.[千峰集一卷 高麗僧卍雨著號千峰]”라고 기록되어 있다. 또 『용재총화(傭齋叢話)』 권6과 『고선책보(古鮮冊譜)』 2에 “지금 『천봉집』이 세상에 간행되어 있다.[今有千峰集行于世]”라는 것에서 『천봉집』이 만우의 저작임을 알 수 있다.

내용

만우는 일명 만우(卍雨)라고 하며, 구곡(龜谷) 각운(覺雲)의 후계이며, 호는 천봉(千峰)이다. 어릴 때부터 학문에 힘써 내외경전에 밝았다. 시를 또한 잘하여 목은(牧隱) 이색(李穡), 도은(陶隱) 이숭인(李崇仁) 등과 교유하였다. 만우의 시재(詩才)와 시풍(詩風)에 대해서는 점필재 김종직(金宗直)의 시 「무태의 시권에 쓰다(書無怠詩卷)」(『점필재집』 시집 제21권 기)나 『도은집(陶隱集)』 권5에 실린 「천봉의 시고 뒤에 제하다[題千峯詩藁後]」에 잘 나타나 있다.

『도은집』에서 이숭인은 “만우가 나를 따라 객지에서 우거하며 한 달 남짓 지났을 적의 어느 날 그가 지은 시 1질(秩)을 꺼내어 나에게 보여주었는데, 청(淸)하면서도 고(苦: 맛이 쓴 것)하지 않고, 졸(拙)하면서도 야(野: 촌스러운 것)하지 않고, 유(腴)하면서도 이(膩: 느끼한 것)하지 않아서, 오래 읽으면 읽을수록 그만 읽고 싶은 생각이 들지 않았다. 당나라 구승(九僧)의 시집(詩集)이 세상에 전해지기에 내가 언젠가 대략적인 내용을 살짝 훑어본 적이 있었는데, 만우가 얻은 시를 그것들과 비교할 때 어찌 많이 양보해야 할까 보냐 하는 생각이 들었다. 비록 그렇긴 하지만 시의 기교 우열을 가지고 우리 만우를 논할 수는 없는 일이다.”라고 만우의 시풍을 평가하였다.

따라서 『천봉시집』은 만우의 시풍을 엿볼 수 있는 좋은 자료로 추정되지만 전하지 않아 『동문선(東文選)』에 수록된 「송일본승문계(送日本僧文溪)」(오언율시)와 「산중(山中)」(오언율시) 등을 통해 짐작해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도은집(陶隱集)』
『동문선(東文選)』
『용재총화(傭齋叢話)』
『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古鮮冊譜』(前間恭作 編, 東洋文庫, 1994)
집필자
김현라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