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고유음 ()

목차
불교
문헌
고려 후기의 승려, 보우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불교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고려 후기의 승려, 보우의 시가와 산문 등을 수록한 불교 시문집.
개설

『태고유음(太古遺音)』은 6책으로 되어 있으나 현존하지 않는다. 『고선책보(古鮮冊譜)』 권3과 『나려예문지(羅麗藝文志)』에 보우가 『태고유음』을 지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내용

보우는 석옥청공(石屋淸珙)의 임제선(臨濟禪)을 계승하여 고려 말 불교계에 큰 영향을 끼친 승려이다. 초명은 보허(普虛), 휘는 보우, 호는 태고(太古)이며 시호는 원증국사(圓證國師)이다. 고려 말에 백운(白雲)·나옹(懶翁)과 함께 여말3가(麗末三家)라고 불리는 승려이다.

보우가 시문에 능했다는 것은 그의 저서 『태고화상어록(太古和尙語錄)』에 127수의 시가 실려 있어 이를 알 수 있다. 보우의 시는 깨달음과 출세간의 생활을 스스로 읊은 가음명시(歌吟銘詩)와 주변 지인들의 이름에 의미를 부여하고 가르침을 주는 명호시(名號詩), 승속(僧俗)의 특정인물에게 주는 증여시(贈與詩), 부처를 비롯한 불교적 인물을 칭송하는 송도시(頌禱詩) 등 상당히 폭넓은 주제성을 보이고 있다. 이들 시는 성불(成佛)의 이념과 선관련 다양한 가르침인 화두(話頭)를 의심하는 간화선(看話禪) 수행에 관한 것, 유심정토(唯心淨土) 차원의 염불수행에 관한 것, 불교의 핵심 사상인 중도(中道)의 진리인 유무(有無)·색공(色空)·선악(善惡) 등 일체의 양변을 두루 융합하는 걸림없는 자리리타행(自利利他行)을 실천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러한 시 가운데 널리 알려진 것이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권3 한성부(漢城府) 중흥사(重興寺)조에 “고려조의 중 보우가 일찍이 절 동쪽 봉우리에 집 짓고 살며 태고라고 편액하고, 영가체(永嘉體)를 모방하여 노래 한 편을 지었다”라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것이 「태고암가(太古庵歌)」이다. 이 시는 ‘태고’라는 무한의 시간이 지금과 맞닿는 점에서 시간의 초월성을 보이고, 암자라는 좁은 공간에 천지사방을 수용한 공간의 초탈을 의미하는 것으로, 불교 득도의 경지를 묘사하고 있다.

참고문헌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태고록』(백련선산간행회 역, 불지사, 1991)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동국대학교출판부, 1976)
『나려예문지』(이성의·김약슬 편, 홍문서관, 1964)
『古鮮冊譜』(前間恭作 編, 東洋文庫, 1994)
「선인과 관인에게 준 태고보우 선시의 성격」(전재강, 『한국고시가문화연구』37, 2016)
「태고보우 시 연구」(최수연,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99)
「태고선사의 명호시 연구」(이종군, 『국어국문학』29, 199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