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증산 설화 ( )

구비문학
작품
증산교의 교조 강일순에 관한 설화.
내용 요약

「강증산 설화」는 증산교의 교조 강일순에 관한 설화이다. 증산교를 창시한 교조의 이야기이므로 신이한 출생과 성장기의 시련, 각성, 기이한 도인들과의 만남과 도술, 마침내 화천으로 일컬어지는 죽음까지 종교적인 전설의 속성을 보여준다.

목차
정의
증산교의 교조 강일순에 관한 설화.
내용

증산(甑山) 강일순(姜一淳, 1871~1909)의 행적을 정리한 책자에는 주1주2가 담겨 있다. 비범(非凡)한 인물의 행적을 중심으로 일대기(一代記)가 구성되고 전승(傳承)된 흔적을 지니고 있어서 설화(說話)적 가치가 높다. 강일순(강증산)의 생애를 주49-죽음 등으로 정리하여 보면, 그의 출생담(出生談)의 핵심은 두 가지 각도에서 정리된다.

첫째는 태몽과 출생에 대한 것이다. 어머니 권씨는 하늘이 남북으로 갈라지면서 큰 불덩어리가 내려와 자신의 몸을 덮었다가 다시 하늘과 땅이 밝아지는 태몽을 꾸었고, 임신한 후 13개월 만에 강증산을 낳았다고 한다. 여느 비범한 인물의 출생담과 마찬가지로 비범한 신이성을 강조하고 있다. 둘째는 권씨가 강증산을 낳을 때 두 선녀로부터 도움을 받았는데, 이상한 향기와 밝은 기운이 7일간 계속 주위를 감돌았다고 하는 것이다.

성장 과정은 비범한 출생과 대조된다. 강증산이 몰락한 양반 집안의 후예로, 남의 집 주11를 하면서 살았다는 것은 별도로 전승된 이야기가 섞인 것이다. 강증산은 성장 과정에서 거듭 고난을 겪고, 동학혁명(東學革命)의 참상(慘狀)을 겪으면서 세상을 구할 계책(計策)에 관심을 가지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강증산은 각성하는데, 그 각성은 한 번에 이루어지지 않고 특별한 사건들을 통해 일정한 계기를 부여받으면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일상에서의 체험을 특별하게 생각하면서, 그에 대한 상상력의 폭을 넓히고 전에 없는 기발한 생각을 전개하면서 각성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농악(農樂)이나 무악(巫樂)을 보고 가무(歌舞)에 대한 깨달음을 얻거나, 개고기를 주19이 먹어야 할 음식이라고 이야기하는 등 강증산은 여러 가지 기이한 행적을 통해 천지공사(天地公事)와 후천 주23의 교리(敎理)를 소박하게 세우게 된다.

아울러 「강증산 설화」에서는 강증산과 기이한 도인의 만남을 설정하고, 이 과정에서 신흥 주22를 활용하여 사상적 깊이를 확장한다. 최제우(崔濟愚, 1824~1864)동학(東學)의 견해를 가져오거나, 김항(金恒, 1826∼1898)『정역(正易)』 사상을 이용하면서 한층 더 크고 깊은 후천 개벽의 사상을 설파(說破)함으로써 강증산은 자신의 사상을 한껏 증폭시킨다.

또한 일옥(一玉) 진묵대사(震默大師, 1562∼1633)와 김봉곡(金鳳谷)의 도술 대결담을 가지고 와서 변형시킴으로써 기발하고 별난 상상력을 발휘한다. “진묵이 봉곡에게 참화를 입은 후에 원(寃)을 품고 동양의 도통신을 거느리고 서양에 건너가서 문화 계발(啓發)에 종역(從役)케 하리라.”라고 한 대목은 예로부터 전해지던 설화를 변형한 흔적을 보여준다. 곧 새 시대에 진묵의 원통함을 풀면서 동서양을 화해시킬 수 있는 계기를 부여하자고 하는 주48 상생의 핵심을 드러낸 것이다.

구전설화에서는 강증산이 주32을 행하고 도술을 부리는 존재로 형상화(形象化)된 이야기를 적지 않게 만날 수 있다. 출신지인 손바래기[客望里]나 강증산이 머물렀던 고장의 이야기에서 그는 도술을 사용하고 주34을 쓰는 주35으로 종종 묘사된다.

종교 설화에서 중요한 결말은 주36의 죽음이다. 죽음을 어떻게 해명하는가에 따라서 종교적 신앙(信仰)의 본보기를 보일 수 있기 때문이다. 39세의 나이로 죽은 강일순의 죽음을 주38이라고 하며 신비롭게 형상화하는 경향이 있다. 상제(上帝)가 하늘이 되었다고 함으로써, 교조의 죽음을 단순한 죽음으로 수용하지 않고 의미 있는 결말로 재구성하였다.

의의와 평가

「강증산 설화」는 전형적인 교조 설화를 핵심으로 하고 있으며, 이야기 구성에서 비범한 인물의 일대기를 보여 준다. 신흥 종교를 창시한 교조에 관한 설화이기 때문에 신화적(神話的) 성격을 일부 지니고 있으며, 동시에 여러 가지 구비 전승(口碑傳承)의 이야기를 새롭게 계승하여 변형하였으므로 전설적 증거물을 내세우는 종교 전설의 속성도 드러내고 있다.

여러 가지 종교 사상을 복합적으로 다루고 있으므로 복합적인 성격의 인물전설이라 할 수 있으며, 때로는 가까운 거리에서 강증산의 이야기를 전하고 있는 점 때문에 일화적 속성도 지닌다. 그렇지만 가장 중요한 점은 전통적인 연희적인 속성의 가무를 강조하는 동시에 주43에 근거하는 천지공사를 중시하고 새롭게 드러낸 것이다.

「강증산 설화」는 동이계 신화와 중국 신화의 요소를 주체적인 입장에서 선별하여, 주46이 아닌 해원의 필요성을 역설하는 고유한 의미를 산출했다. 해원 설화는 문제가 있는 이들에게 정서적 공감대를 형성하여, 이들의 원한을 풀어 주면서 보은(報恩)의 서사로 나아가게 한다는 데에서 문학 사회적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원전

이상호, 『증산천사공사기(甑山天師公事記)』(상생사, 1926)
이상호, 『대순전경』(증산교본부, 1975)
황인덕, 『완주의 구전설화』(신아출판사, 2001)

단행본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4(제4판, 지식산업사, 2005)
김명선, 『진묵설화 연구』(보고사, 2007)

논문

고남식, 「해원 주제 강증산 전승 연구」(건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3)
고남식, 「해원 설화에 대한 문학치료적 접근-강증산 전승과 문헌 설화의 비교」(『문학치료연구』 6, 문학치료학회, 2007)
안신, 「예수와 증산의 내러티브 비교연구」(『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62, 원광대원불교사상연구원, 2014)
정재서, 「강증산(姜甑山)의 중국 신화 수용과 그 의미」(『중국학』 52, 대한중국학회, 2015)
주석
주1

입에서 입으로 전하여져 오는 설화. 우리말샘

주2

반복하여 나타나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낱말ㆍ문구ㆍ내용을 이르는 말. 설화에서 반복하여 등장하는 이별한 임이나 서양 동화의 요술 할머니 또는 미녀 따위를 예로 들 수 있다. 우리말샘

주3

보통 수준보다 훨씬 뛰어나다. 우리말샘

주5

행위의 실적(實績)이나 자취. 우리말샘

주6

어느 한 사람의 일생에 관한 내용을 적은 기록. 우리말샘

주7

문화, 풍속, 제도 따위를 이어받아 계승함. 또는 그것을 물려주어 잇게 함. 우리말샘

주8

깨달아 앎. 우리말샘

주9

어떤 징조를 경험함. 우리말샘

주10

사람의 출생과 관련된 전설이나 민담 따위의 이야기. 우리말샘

주11

남의 머슴 노릇을 하는 일. 우리말샘

주14

비참하고 끔찍한 상태나 상황. 우리말샘

주15

어떤 일을 이루기 위하여 꾀나 방법을 생각해 냄. 또는 그 꾀나 방법. 우리말샘

주18

노래와 춤을 아울러 이르는 말. 우리말샘

주19

수준이 높거나 우월한 사람. 우리말샘

주20

종교적인 원리나 이치. 각 종교의 종파가 진리라고 규정한 신앙의 체계를 이른다. 우리말샘

주21

도를 갈고닦는 사람. 우리말샘

주22

기성 종교에 대하여 새로 일어난 종교. 기성의 종교 단체에서 분파되어 나온 것이 많은데, 대개는 현실적인 경향을 띤다. 우리말샘

주23

천도교에서, 인문 개벽을 이르는 말. 1860년 4월 5일에 교조 최제우가 동학교를 창건한 일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26

어떤 내용을 듣는 사람이 납득하도록 분명하게 드러내어 말함. 우리말샘

주27

도를 닦아 여러 가지 조화를 부리는 요술이나 술법. 우리말샘

주28

슬기나 재능, 사상 따위를 일깨워 줌. 우리말샘

주29

이야기나 글 따위의 특정한 부분. 우리말샘

주32

기이한 행적. 우리말샘

주33

형체로는 분명히 나타나 있지 않은 것을 어떤 방법이나 매체를 통하여 구체적이고 명확한 형상으로 나타냄. 특히 어떤 소재를 예술적으로 재창조하는 것을 이른다. 우리말샘

주34

도술로 지맥(地脈)을 축소하여 먼 거리를 가깝게 하는 술법. 우리말샘

주35

재주가 신통하고 비범한 사람. 우리말샘

주36

어떤 종교나 종파를 처음 세운 사람. 우리말샘

주37

믿고 받드는 일. 우리말샘

주38

육욕천(六欲天)의 다섯째 하늘. 이 하늘에 태어나면 바라는 대상을 마음대로 변하게 하여 즐길 수 있다고 한다. 우리말샘

주40

우주를 창조하고 주재한다고 믿어지는 초자연적인 절대자. 종교적 신앙의 대상으로서 각각의 종교에 따라 여러 가지 고유한 이름으로 불리는데, 불가사의한 능력으로써 선악을 판단하고 길흉화복을 인간에게 내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말샘

주41

신화의 특성을 지닌. 또는 그런 것. 우리말샘

주42

문자가 없거나 문자를 사용하지 못하던 상황에서 말로 이어져 계승되는 일. 우리말샘

주43

흥겨운 신이나 멋을 마음껏 드러내는 일. 우리말샘

주44

말과 동작으로 여러 사람 앞에서 재주를 부림. 우리말샘

주45

혼자 독차지하여 가짐. 우리말샘

주46

원통한 사정을 풀어 없앰. 우리말샘

주47

은혜를 갚음. 우리말샘

주48

원통한 마음을 풂. 우리말샘

주49

어떤 징조를 경험함. 우리말샘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