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실묘 ()

목차
관련 정보
공주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
공주 송산리 고분군 무령왕릉
선사문화
개념
무덤방이 1개 있는 무덤양식.
목차
정의
무덤방이 1개 있는 무덤양식.
개설

무덤방이 1개 있는 굴식 나무방[횡혈식목실묘]·벽돌방[횡혈식전실묘]·돌방무덤[횡혈식석실묘]와 앞트기식 돌방무덤(횡구식석실묘]를 지칭하지만, 일부에서는 규모가 큰 구덩식돌덧널무덤[수혈식석곽묘]를 실로 부르기도 한다. 그런데 실은 방으로서 출입이 가능한 구조와 매장관념이 반영된 묘제이므로 주검과 부장품을 안치하고 매장한 후 영구히 막아버려 출입이 이루어지지 않는 구덩식돌덧널무덤을 실로 부르기는 어렵다. 따라서 단실묘란 용어는 널길과 방으로 이루어진 굴식 또는 앞트기식 돌방무덤에만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다. 단실묘의 무덤방은 주검과 껴묻거리를 안치한 장소인데, 주검은 1인 또는 부부·가족 등이 시기 차이를 두면서 함께 묻힌 공간이기도 하였다.

연원 및 변천

압록강 유역의 고구려 단실묘는 주로 계단식적석총과 봉토분의 매장구조로서 4세기 전반부터 7세기 후반 초까지 최고지배층은 물론 중소 지배층들도 만들어 사용하였다. 특히 5세기 후반 이후부터 대부분의 굴식돌방무덤은 단실이고, 6세기 전반 이후는 단실이 일반적이다.

백제는 나주 흥덕리 돌방무덤 등 극소수를 제외하면, 굴식 돌방무덤과 앞트기식 돌방무덤, 굴식 벽돌방무덤은 거의 모두 단실묘이다. 한성기인 4세기부터 서울, 경기 및 충청 지역을 중심으로 축조되기 시작하여, 웅진기를 거쳐 사비기에 이르기까지 단실묘가 왕을 비롯한 지배층들의 주요한 무덤 형식이었다.

가야는 6세기 전반에 백제로부터 단실의 굴식 돌방무덤을 받아들여 지배층의 무덤으로 만들었다. 그리고 영산강유역과 경남 남해안 일대에는 일본열도의 특징이 있는 단실의 굴식 돌방무덤이 만들어지기도 하였다.

신라와 통일신라는 단실의 굴식 돌방무덤과 앞트기식 돌방무덤들을 지배층과 피지배층의 일부가 만들었다. 단실묘의 규모와 형태는 지역, 시기, 무덤에 묻힌 주인공의 신분 등에 따라 다양하고 차이가 있다.

참고문헌

『신라 후기 고분문화 연구』(홍보식, 춘추각, 2003)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홍보식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