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이곡리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와 덜널무덤 등이 발굴된 마을터. 취락유적.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진주시 문산읍에 있는 청동기시대 집터와 덜널무덤 등이 발굴된 마을터. 취락유적.
개설

조사지역은 진주시 문산읍 삼곡리, 이곡리 일대의 생물산업단지 조성부지이다. 총 면적 148,761㎡ 중 2003년 경남발전연구원 역사문화센터에서 시굴조사를 실시하여 청동기시대 돌널무덤와 구 등의 유구와 각종 무문토기편, 석기 등의 유물이 출토되어 청동기시대 문화층 약 36,372㎡에 대하여 발굴조사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에 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에서 2004년부터 2008년까지 총 3차례에 걸쳐 시 · 발굴조사를 실시하였다.

내용

1차 발굴조사는 2004년 7월에서 2005년 1월까지 실시되었으며, 청동기시대 고인돌, 돌널무덤, 환호 등이 조사되었다. 또한 당초 시굴조사에서 확인된 유적범위보다 더 넓게 유적이 확대되어 추가 발굴조사가 실시되었다.

2차 시 · 발굴조사는 2005년 4월에서 2006년 1월까지로 조사구역을 가~마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가구역은 청동기시대 분묘, 주거지, 수혈, 구상요, 구, 환호, 나구역은 청동기시대 분묘, 수혈, 대형구, 다구역은 청동기시대 분묘, 수혈, 구, 라구역은 청동기시대 고상건물, 수혈, 구가 확인되었다. 조사결과 유적은 청동기시대 분묘가 중심이 되어 형성된 것으로 유구의 범위가 조사대상지역의 북쪽과 남쪽지역으로 이어지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3차 시 · 발굴조사가 2006년 12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실시되었다. 또한 2차 시굴조사 당시 청동기시대 구와 수혈이 확인된 마구역에 대한 발굴조사도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시굴조사 지역인 바구역 추가지역은 유구가 확인되지 않았으며, 사구역 추가지역은 청동기시대 수혈과 조선시대 분묘가 추가로 확인되었다. 발굴조사 지역인 마구역은 청동기시대 분묘, 주거지, 수혈, 누자식건물, 구가 확인되었다. 분묘는 고인돌 12기(방형묘역 7기, 원형묘역 5기), 돌널무덤 19기, 돌덧널무덤 4기, 토광묘 5기이다. 이중 방형묘역계 고인돌는 분포양상에 따라 조사지역의 가장 서쪽에 위치하는 1군, 환호B와 연접한 2군, 동쪽 구릉말단부에 조성된 3군으로 나누어진다. 1군과 2군이 3군보다 묘역의 규모가 크다. 또한 매장주체부 구조는 서쪽에 위치하는 고인돌는 석곽을 채용하고 있으나 연접하는 고인돌과 2군의 고인돌들은 석관을 채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유물은 이단병식석검, 석촉, 채문토기, 옥 등이 출토되었다. 원형묘역계 고인돌는 2군의 군집양상을 보이며, 1군은 방형묘역계 고인돌 1군과 2군은 방형묘역계 고인돌 3군과 연접하고 있으나 묘역의 규모 차이는 없다. 매장주체부는 모두 석관이며, 17호 고인돌 1기를 제외하고 모두 지상식이다. 유물은 일단경식석촉, 구순각목문토기, 공열문토기, 채문토기, 부리형석기 등 토기와 농경구의 출토비율이 높은 점이 특징이다. 이러한 양상은 고인돌을 통해 조령의식과 풍요기원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것이 반영된 것으로 청동기시대 장송의례의 일면을 보여준다. 방형묘역계와 원형묘역계 고인돌는 상호중복이 없어 평면형태만으로는 선후관계를 파악하기 어려우나 이 유적과 인접한 서부경남지방에서는 거창 산포, 합천 저포리 E지구, 함양 화산리, 진주 대평리, 진주 평거동, 사천 이금동, 사천 소곡리 신월, 거제 대금리, 함안 도항리, 마산 진동, 진북, 창원 덕천리, 밀양 금포리, 김해 율하리 유적 등에서 묘역식고인돌의 존재가 보고되었으며 대체로 송국리문화 단계에 성행한 것으로 보고 있어 고인돌의 시기를 추정해 볼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진주 이곡리유적은 청동기시대의 고인돌, 돌널무덤 등의 매장유구와 주거지, 건물지, 수혈, 환호, 구 등의 생활유구가 하나의 취락 내에 모두 존재하는 대규모의 청동기시대 취락이다. 따라서 진주 대평리유적, 평거동유적, 가호동유적, 초전동유적 등과 더불어 서부경남지역[남강유역]의 청동기시대 취락의 양상을 살펴볼 수 있는 자료이다.

참고문헌

『진주 생물산업단지 조성부지내 진주 이곡리 선사유적Ⅱ』(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10)
『진주 생물산업단지 조성부지내 진주 이곡리 선사유적Ⅰ』(동아세아문화재연구원, 2007)
집필자
윤호필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