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무거동 옥현 유적 ( )

선사문화
유적
울산광역시 남구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집터와 무논이 발굴된 마을터. 취락유적.
정의
울산광역시 남구에 있는 청동기시대 이후 집터와 무논이 발굴된 마을터. 취락유적.
개설

대한주택공사 경남지사에서 시행하는 택지개발사업지구로 1997년 동아대학교박물관에서 지표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이후 경남대학교박물관과 밀양대학교박물관이 공동으로 시굴조사를 실시하여 구릉의 일정범위에서 청동기시대 주거지가 다수 확인되었다.

내용

유적조사는 구릉쪽과 구릉아래 저지대를 대상으로 하며, 서쪽 구릉에서부터 A~C지구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구릉쪽에서는 청동기시대 대규모의 주거지와 조선시대 주거지가 확인되어 생활공간이었던 것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구릉 아래 저지대에서는 청동기시대부터 현대까지의 논이 조사되어 생산공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청동기시대 유적은 구릉의 남쪽 사면을 중심으로 독립된 단위의 대규모 취락이 확인되었다. 주거지의 평면형태는 장방형과 방형이다. 크기는 장방형의 경우 최대길이 800∼900㎝, 최대폭 500㎝ 내외이고, 방형은 길이와 폭이 500㎝ 이내인 것이 대부분이다. 내부시설로 벽구를 포함함 벽체시설, 노지, 외부돌출구 등 주거양식이 안정되고 정형화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유물은 공열문토기, 단사선문토기, 석검, 석촉, 합인석부, 편평편인석부, 유구석부, 석착, 석도, 부리형석기, 어망추, 방추차 등이 출토되었다. 이외에도 구릉에서는 수혈유구가 확인되었다.

구릉 아래 저지대에는 부분적으로 논이 확인되었다. 평면형태는 방형, 장방형, 부정형 등이다. 논둑은 폭 16∼52㎝, 높이 1.4∼6㎝ 내외이며, 둑의 단면은 대형(臺形) 또는 반원형이다. 수로는 구릉 사면과 골짜기의 경계부에 설치되었으며, 청동기시대에 구축하여 이후 여러 차례의 보수를 거치면서 일정시기까지 계속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다.

삼국시대 유적은 구릉 아래 저지대에서 논과 수혈유구가 확인되었다. 논은 저지대 전면에 조성되었으며, 기존의 논 조성 여건이 안정화되는 단계이다. 수로는 노출된 수전면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은 확인되지 않으나 현대 수전의 관개 및 배수체계로 보아 조사구역 남단의 수로를 이용하였을 것이다.

의의와 평가

옥현유적은 복합유적으로서 다양한 시대의 유구들이 분포하지만 그 중 가장 중심을 이루는 것은 청동기시대이다. 청동기시대의 옥현유적은 대규모 취락이 형성되고 발전한 시기로 단독 구릉에는 주거지를 비롯한 생활유구들의 밀집분포하고, 곡부평지에서는 농경작지가 분포하고 있어 한 단위의 취락을 보다 넓은 관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주거지의 보존상태가 양호하며, 한 구릉상에 다수의 주거지가 존재하고 있어 주거배치를 통한 상호간의 관계, 취락 내의 공간 활용 등 다양한 면을 연구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그리고 청동기시대의 취락과 동시기의 논이 함께 조사되었다는 점은 당시 사회를 이해하는데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동일한 범위 내에서 층위를 달리하면서 청동기시대-삼국시대-조선시대의 논이 조사됨으로써, 시대별 형태와 토지이용방법, 관개체계 등을 상호 비교할 수 있는 점은 농업발달사의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울산 무거동 옥현 유적」(이상길·이현석·곽종철, 제42회 전국역사학대회 발표요지, 1999)
집필자
윤호필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