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룡2년명 금동사리함기 ( )

목차
고대사
유물
남북국시대 금동사리함(金銅舍利函)에 새겨진 명문(銘文).
이칭
이칭
신룡이년명금동사리방함기(神龍二年銘金銅舍利方函記)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남북국시대 금동사리함(金銅舍利函)에 새겨진 명문(銘文).
개설

신룡이년명금동사리방함기(神龍二年銘金銅舍利方函記)라고도 한다. 원래 일본인 점패방지진(鮎貝房之進)이 소장하였지만, 현재 일본인 삼정가현(三井家現) 또는 일본의 삼정(三井) 집안에서 소장하고 있다는 두 가지 견해가 제기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국립중앙박물관에 있는 『매원고고자료(梅原考古資料)』의 사진을 통하여 그 모습을 확인할 수 있을 뿐이다. 이 사진에 의하면 명문은 사리함의 뚜껑 안쪽에 8줄의 묵서(墨書)로 기록되어 있으며, 서체는 해서체이다.

내용

이 사리함은 ‘신룡이년(神龍二年)’인 706년(성덕왕 5)에 제작되었는데, 사리함이 봉안된 불상이나 사찰 및 출토지 등은 명문의 결락이 심하여 자세히 알 수 없다. 이 외에 사리함 주인공의 제자로 추정되는 범혜(梵兮)라는 승려의 이름이 있지만, 그에 대한 기록은 다른 곳에 보이지 않는다.

참고문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Ⅲ(한국고대사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삼국신라시대불교금석문고증』(김영태, 민족사, 1992)
『한국금석유문』(황수영, 일지사, 1976)
『梅原考古資料目錄 -朝鮮之部-』(東洋學術協會 編, 東洋文庫, 1966)
「日鮮上代寺院の舍利莊嚴具について」(榧本杜人, 『佛敎藝術』33, 195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