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지사종은 ‘태화칠년(太和七年)’인 883년에 제작되었는데, 높이는 111.1㎝이고, 구경은 66.3㎝이다. 명문은 유곽(乳廓) 사이의 상대에 가깝게 가로 15.6㎝, 세로 8.3㎝ 규모의 크기에 양각되었는데, 제2행 아랫부분의 4자 ‘칠백십삼(七百十三)’만은 음각되었다.
연지사종명의 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태화(太和) 7년 3월 일에 청주(菁州) 연지사의 종이 이루어졌다. 전하건대 들어간 쇠가 합하여 713정(廷)인데, 원래의 쇠가 498정이고, 더 들어간 쇠가 110정이다.
성전화상(成典和上)은 혜문법사(惠門法師)와 □혜(□惠)법사이며,
상좌(上坐)는 칙충(則忠)법사이며, 도내(都乃)는 법승(法勝)법사이다.
경촌주(卿村主)는 삼장급간(三長及干)과 주작대내마(朱雀大奈麻)이며,
작한사(作韓舍)는 보청군사(寶淸軍師)와 용년(龍年)군사이다.
사육□(史六□)은(는) 삼충사지(三忠舍知)와 행도(行道)사지이며.
종을 만든 박사(博士)는 안해애대사(安海哀大舍)와 애인(哀忍)대사이다.
때의 주통(州統)은 황룡사(皇龍寺) 각명(覺明)화상이다.
비천상(飛天像)은 신라종(新羅鐘)의 전형적인 모습으로 유려하게 조식되었으며, 보화형(寶花形) 구름 위에 천의(天衣)자락을 날리며 무릎을 꿇고 주악(奏樂)하는 모습이다. 이러한 비천상은 통일신라시대 동종의 전·후기를 구분하는 지표로 이해하고 있다. 또한 명문에는 ‘군사(軍師)’와 ‘도내(都乃)’ 등 신라 하대의 지방관직과 승관직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현재 일본 복정현(福井縣) 돈하시(敦賀市) 상궁신사(常宮神社)에 소장되어 있으며, 일본 신국보(新國寶)로 지정되어 있다. 오랫동안 바닷바람 때문에 녹이 슬어서 탁본이 곤란한 상태이다.
연지사종은 16세기 말 정유재란(丁酉再亂) 때 왜군(倭軍)이 약탈하여 간 것으로 전하고 있으며, 일본에 전해진 종 가운데 가장 오래된 범종(梵鐘)으로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