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태2년명 비로자나불 조상기 ( )

고대사
유물
국가유산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내원리의 전(傳)‘보선암 절터’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납석제사리호조상기(蠟石製舍利壺造像記)의 명문(銘文).
국가문화유산
지정 명칭
산청 석남암사지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납석사리호(山淸 石南巖寺址 石造毘盧遮那佛坐像 蠟石舍利壺)
분류
유물/불교공예/사리장치/사리장치
지정기관
국가유산청
종목
국보(1986년 10월 15일 지정)
소재지
부산 남구 유엔평화로 63, 부산시립박물관 (대연동,부산광역시시립박물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남도 산청군 삼장면 내원리의 전(傳)‘보선암 절터’에 있었던 남북국시대 납석제사리호조상기(蠟石製舍利壺造像記)의 명문(銘文).
개설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을 만든 조상기로 불상에 사리를 모시기 위해 대좌 속에 납석제사리호를 봉안하고 다시 그 안에 청동제 사리용기를 넣어 사리장치를 이루었다. 사리호는 영태(永泰) 2년인 766년에 조성되었으며, 크기는 높이 14.5㎝, 입지름 9.0㎝, 몸지름 12.3㎝이다. 사리호의 몸체에 15행 136자의 명문이 음각되어 있고, 서체는 행서체를 주로 사용하였지만 초서와 반초서체 등이 섞여 있다. 한자와 함께 이두문과 이자(異字)들이 쓰였으며, 찬자와 서자는 알 수 없다.

내용

조상기의 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영태 2년 병오 7월 2일에 법승(法勝)과 법연(法緣) 두 스님이 함께 받들어 돌아가신 두온(豆溫) 애랑(哀郞)의 원(願)을 위하여 석비로자나불(石毘盧遮那佛)을 조성하고 안에 무구정광다라니(無垢淨光陀羅尼)를 함께 넣고 석남사(石南寺) 숲 깊은 곳에 있는 관음암(觀音巖)에 둡니다. 원컨대 이것은 두온 애랑의 영신(靈神)이나 두 스님이나 혹은 이것을 본 사람이나 비로자나불을 향하여 정례(頂禮)하고 멀리서 들은 사람이나 기뻐하는 사람이나 (불상의) 그림자를 지나는 무리나 불어서 지나가는 바람이 지나간 어느 곳에 일체중생이나 일체 모든 삼악도(三惡道)의 업(業)이 소멸하여 스스로 비로자나임을 깨닫고 세상을 떠나기를 서원(誓願)합니다.

(바닥면)

호(壺) 안의 것에 관한 것이다. 이것은 은혜를 항성(恒性)으로 삼는 것이다. 두 개 반의 약(藥)은 꺼내어 병을 □하여 쫓는 것.

특징

사리호의 바닥면에도 4행 23자의 명문이 새겨져 있다. 그러나 동체부와는 서체가 다를 뿐만 아니라 내용도 이질적이어서 서로 다른 시기에 새겨졌을 가능성이 크다. 아마도 바닥면의 명문이 납석제호의 원래 용도와 관련된 것이고, 동체부의 명문은 원래의 용도에서 사리호로 전용되면서 추가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황

이 조상기는 지리산의 전(傳)‘보선암 절터’에 있던 석조비로자나불상의 대좌(臺座)에서 발견되었다. 전‘보선암 절터’가 있던 내원사(內院寺) 계곡 일대는 한국전쟁 당시 공비토벌작전으로 산림이 거의 소실되었는데, 사리호는 수복 후에 나무를 캐러 다니던 주민들에 의해 발견되었다. 이후 여러 경로를 거쳐서 1981년 부산시립박물관(현 부산박물관)에 소장되었다. 불상은 1947년 무렵에 전‘보선암 절터’에서 반출되었다가 1959년에 내원사로 이전되었다. 발견 당시 사리호 내에는 청동제사리용기가 있었다고 전한다. 조상기는 1986년 국보로 지정되었고, 석조비로자나불좌상은 1990년 보물로 지정되었다가 2016년 1월에 국보로 승격되었다.

의의와 평가

조상기와 석조비로자나불상은 현존하는 비로자나불조상기 중에서 가장 오래된 것이다. 이 조상기의 발견으로 통일신라시대 비로자나불상의 출현이 최소 1세기 이상 소급된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그리고 이 시기에 드물게 보이는 새로운 이두문이 많이 기록되어 있어 국어학적으로도 가치를 높게 평가받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금석문집성』 14(김복순·한정호, 한국국학진흥원, 2012)
『한국조각사』(문명대, 열화당, 1997)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Ⅲ(한국고대사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영태이년명 석비로자나불 조상기에 대하여」(김성주·박용식, 『배달말』 56, 2015)
「한국비로자나상의 성립과 전개 -원융의 도상적 실현-」(강우방, 『미술자료』 44, 1990)
「영태이년명 석조비로자나불 조상기의 이두문 고찰」(남풍현, 『신라문화』 5, 1988)
「영태이년명 석조비로자나좌상 -지리사 내원사 석불 탐사 시말-」(박경원, 『고고미술』 168, 1985)
「영태이년명 납석제호」(박경원·정원경, 『부산시립박물관연보』 6, 1983)
「신라 하대 비로자나불상조각의 연구(속) -신라하대 불교조각의 연구(2)-」(문명대, 『미술자료』 22, 1977)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