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서사 랍석 사리함기 ( )

고대사
유물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개단리의 취서사에 있는 신라 하대 납석사리함(蠟石舍利函)의 명문(銘文).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봉화군 물야면 개단리의 취서사에 있는 신라 하대 납석사리함(蠟石舍利函)의 명문(銘文).
개설

사리함은 1920년대 초에 일본인에 의해 삼층석탑 안에서 발견된 것으로 1929년에 조선총독부에서 구입하여 박물관에 두었으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사리함의 형태는 납석제 원통형으로 함통(咸通) 8년인 867년(경문왕 7)에 제작되었으며, 높이는 10㎝, 둘레는 11㎝이다. 사리함의 주위 외면에는 16행 74자의 명문이 음각되어 있고, 바닥면에도 4자의 명문이 있다.

내용

사리함기의 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승려 언부(彦傅)의 어머니 이름은 명단(明端)으로 돌아가신 아버지 이찬(伊湌) 김양종(金亮宗) 공(公)의 막내딸이다. 스스로 커다란 서원(誓願)을 발하여서 직접 불탑(佛塔)을 세워서 이미 정토(淨土)의 업(業)을 깨닫고 아울러 속세의 생령(生靈)들을 이롭게 하고자 하였다.

(언부는) 이 뜻을 효성스럽게 받들어서 이 탑을 세우고 불사리(佛舍利) 10개를 넣고 무구정경(無垢淨經)에 의한 법회(法會)를 열었다. 법회의 설법을 맡은 승려는 황룡사(皇龍寺)의 현구(現炬)이다.

당(唐) 함통 8년에 세운다.

(밑면)

돌을 다듬은 장인(匠人)은 신노(神孥)이다.

특징

명문에 기록되어 있는 김양종(金亮宗)은 810년(헌덕왕 2) 봄 정월에 시중(侍中)이 되었다가 이듬해 봄 정월에 병으로 면직되었다.

현황

취서사는 신라시대의 사찰로 추정되고 있는데, 창건과 폐사 시기는 기록이 없어 자세히 알 수 없으며, 1952년에 재건하였다.

의의와 평가

신라 하대에는 취서사사리함을 비롯하여 이와 유사한 사리기와 무구정소탑(無垢淨小塔)들이 많이 발견되고 있어 당시 불교의 무구정탑 신앙의 유행을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금석문집성』 14(김복순·한정호, 한국국학진흥원, 2012)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Ⅲ(한국고대사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朝鮮金石總覽』 上(朝鮮總督府, 1919)
「통일신라시대의 금공기법 연구 –불사리장엄구를 중심으로-」(주경미,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24, 2003)
「취서사의 탑상과 석등 –신라 오악조사기(기육)-」(정영호, 『고고미술』 69, 1966)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