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압지 출토 조로2년명 전 ( )

조로이년 / 명보상화문전편
조로이년 / 명보상화문전편
고대사
유물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의 안압지에서 출토된 명문 벽돌[塼].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 인왕동의 안압지에서 출토된 명문 벽돌[塼].
개설

문화재관리국(현, 국가유산청)이 1975년부터 1976년까지 안압지를 발굴할 때 명문이 새겨진 여러 벽돌들과 함께 출토되었다. 이 벽돌은 보상화문(寶相華文)이 새겨져 있으며, 문장을 구성하고 있는 유일한 벽돌이다. 그러나 완형이 아니기 때문에 현재 3행 17자만 확인할 수 있고, 아랫부분의 명문은 파손된 것으로 보인다. 명문 벽돌의 크기는 가로 32㎝, 세로 31.5㎝, 두께 5.3㎝이다.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 현곡면 하구 3리에 있는 삼국시대 말기에서 통일신라시대 초기의 기와가마터[瓦窯址]인 다경(多慶) 기와가마터에서 생산 · 공급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내용

명문 벽돌의 내용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

조로(調露) 2년 한지벌부(漢只伐部) 군약(君若) 소사(小舍)가 … 3월 3일 만든 …

특징

명문의 첫 구절에는 절대연대를 알 수 있는 ‘조로(調露)’라는 연호가 있는데, 조로는 당(唐) 고종(高宗) 때의 연호로써 원년은 679년이다. 이후 680년에 ‘영융(英隆)’으로 개원(改元)하였기 때문에 이 연호는 1년밖에 사용되지 않았다. 그러나 신라에서는 이러한 사실을 알지 못하고 그대로 사용하였으며, 따라서 ‘조로이년’은 680년(문무왕 20)에 해당된다.

의의와 평가

명문 벽돌은 신라 6부에 대한 문제를 비롯하여 벽돌을 제작하는 기술자 문제 등 신라의 정치 · 경제 · 사회 문제의 해결에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또한 신라 와전류의 양식과 문양을 편년하는데 결정적인 자료로서 미술사적인 가치를 지니고 있다.

참고문헌

『역주 한국고대금석문』 Ⅱ(한국고대사연구소 편,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1992)
『옛기와』(김성구, 대원사, 1992)
『안압지발굴조사보고서』(문화재관리국, 1984)
「안압지 명칭에 대한 고찰」(고경희, 『고고역사학지』 16, 2000)
「상중고기 신라 육부의 사적 고찰」(문경현, 『국사관논총』 45, 1993)
「금석문자료를 통하여 본 신라의 육부」(이문기, 『역사교육논집』 2, 1981)
관련 미디어 (2)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