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요 ()

불교
개념
경론의 근본적인 종지나 사물의 본질적인 요체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정의
경론의 근본적인 종지나 사물의 본질적인 요체를 가리키는 불교용어.
개설

종요는 경론의 근본적인 종지(宗旨)나 사물의 본질적인 요체(要諦)를 일컫는다. 천태 지의(天台智顗: 538~597)의 『법화현의』 권1에서는 ”줄의 벼리 밧줄[綱維]를 당기는 것 같아서 눈금이 없으면 움직이지 아니하고, 옷의 한 귀퉁이[一角]을 잡아당김과 같아서 끈이 없으면 오지를 않으므로 종요(宗要)라 한다”고 하였다. 가상 길장(嘉祥吉藏: 549~623)의 『삼론현의』에 분과와 주석을 한 『삼론현의과주』에서는 “종(宗)은 주종(主宗)이 되고, 요(要)는 간요(肝要)가 된다”고 하였다. 이처럼 종요에서 ‘종’은 주장의 근본이 되고, ‘요’는 요목의 요체가 된다.

내용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는 경전의 주석서를 쓰면서 이 종요의 개념을 즐겨 사용하였다. 그는 종요에는 전개[開]와 종합[合]의 뜻이 있다고 하였다. 즉 원효는 ‘종’은 전개하여 말한다면 열 가지의 법문[十重法門]이 종지가 되고, ‘요’는 종합하여 말한다면 일미의 관행[一味觀行]이 요체가 된다고 풀고 있다. 관행에서 ‘관’은 가로로 논하는 것으로서 ‘경(境)'과 ‘지(智)'에 통하고, ‘행(行)'은 세로로 바라본 것으로서 ‘인(因)'과 ‘과(果)'에 걸쳐 있다. ‘과’는 오법(五法)이 원만함을 말하는 것이고, ‘인’은 육행(六行)이 잘 갖추어짐을 말하며, ‘지’는 곧 본각과 시각의 두 깨달음이고, ‘경’은 곧 진과 속이 없어진 것이다.

계속해서 원효는 ‘종’과 ‘요’의 상위 개념을 전제로 하위의 개념들을 조직해 나간다. 즉 진과 속이 함께 없어졌지만 아주 없어진 것이 아니고, 본각과 시각 두 가지로 깨달았지만 생긴 것이 없으니, 무생(無生)의 행은 그윽이 무상에 계합하고, 무상(無相)의 법은 본각의 이익을 순조롭게 이룬다. 이익이 이미 본각의 이익[本利]으로서 얻음이 없기 때문에 실제(實際)를 움직이지 아니하고, 제가 이미 실제로서 자성을 떠났기 때문에 진제 또한 공허하다. 모든 부처와 여래가 여기에 간직되어 있으며, 모든 보살도 이 가운데에 따라 들어가니, 이러한 것을 여래장(如來藏)에 들어간다고 말한다. 이것이 여섯 품의 대의다.

이 관의 문에서 처음의 신해(信解)로부터 등각(等覺)에 이르기까지 육행을 세운다. 육행이 만족될 때 아홉 가지 식이 전변하거나 현현하니, 무구식(無垢識)을 현현시켜 청정한 법계를 삼고, 나머지 여덟 가지[八識]을 전변시켜 네 가지 지혜[四智]를 이루니 오법이 이미 원만해짐에 따라 삼신(三身)이 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인’[六行]과 ‘과’[五法]는 경과 지를 떠나지 아니하였으며, 경과 지는 둘이 아니라 오직 일미(一味)니, 이러한 일미의 관행(觀行)으로 이 경의 종지로 삼는다. 그러므로 대승의 법상(法相)이 포괄되지 않는 것이 없고, 셀 수 없는 종요(宗要)가 여기에 들어가지 않음이 없으니, ‘이름이 헛되이 일컬어지지 않는다’는 것은 이것을 두고 하는 말이다. 일미의 관행을 종합적으로 논하여 대략 서술하면 이와 같다고 하였다.

또 원효는 ‘전개해서 설명하면 열 가지의 법문이 종지가 된다’고 한 것은 일문(一門)으로 점차 십문(十門)에까지 이르는 것을 말한다고 하였다.

일문이란 일심(一心) 가운데에서 일념(一念)이 움직여 일실(一實)을 따라서 일행(一行)을 닦아 일승(一乘)에 들어서 일도(一道)에 머물러 일미(一味)를 깨닫는 것이다. 이문(二門)이란 차안과 피안[二岸]에 머무르지 아니하여 도중과 속중[二衆]을 버리고 인아와 법아[二我]에 집착하지 않음으로써 중도를 떠난 두 극단[二邊]을 떠나며, 인공과 법공[二空]에 통달하여 성문승과 보살승[二乘]에 떨어지지 아니하고, 진제와 속제[二諦]를 함께 융합하여 교리의 사유와 교법의 실천[二入, 理入/行入]에 어긋나지 않는다. 삼문(三門)이란 스스로 삼신불(三佛)에 귀의하여 세 가지 계[三戒]를 받으며, 세 가지 진리[三大諦]를 좇아 공(空)·무상(無相)·무작(無作)의 세 가지 해탈(三解脫)과 등각의 삼지(三地)와 묘각(妙覺)의 삼신(三身)을 얻고, 세 가지 공취[三空聚]에 들어가서 욕유·색유·무색유[三有心]를 없애는 것이다.

사문(四門)이란 네 가지 부지런한 노력[四正勤]을 닦고 네 가지 신통의 작용을 이끌어 내는 행법[四神足]에 들어가며, 네 가지 큰 인연의 힘으로 네 가지 위의[四儀]가 항상 예리하며, 네 가지 근본 선정[四禪]을 초월하여 네 가지 비방[四謗]을 멀리 떠난 네 가지 광대한 원[四弘地] 가운데서 네 가지 지혜[四智]가 흘러나오는 것이다. 오문(五門)이란 오음(五陰)에서 생겨나서 오십 악을 갖추었기 때문에 다섯 가지 무루근[五根]을 심고 다섯 가지 힘의 작용[五力]을 길러 다섯 가지 공성[五空]의 바다를 건너고 다섯 등급의 지위[五等位]를 넘어서 다섯 가지 깨끗한 법[五淨法]을 얻고 다섯 갈래 유정이 태어나는 갈래[五道]의 중생을 제도하는 것 등이다.

육문·칠문·팔문·구문에서는 여섯 갈래 유정이 태어나는 갈래[六道]를 온전히 닦아서 여섯 가지 감각 기관[六入]을 영구히 제거하며, 일곱 가지 법으로 보리지혜를 열어가는 행법[七覺分]을 행한다. 이리하여 지수화풍 사대와 오온·십이처·십팔계 삼과[七義科]를 없애고, 여덟 가지 의식[八識]의 바다가 맑아지고, 아홉 가지 의식[九識]의 흐름이 깨끗해지는 것이라고 낱낱이 설명한다.

처음 십신에서부터 십지에 이르기까지 온갖 행업[百行]이 만족하게 갖추어지고 만덕이 원만한 것이니, 이러한 여러 문이 이 경의 종지가 된다. 이것은 모두 경의 글에 있으니, 그 글이 나오는 곳에서 설명할 것이다. 그런데 이 뒤의 아홉 문은 모두 일문에 포함되고, 일문에 아홉 문이 있으니, 일미의 관행을 벗어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전개하여도 하나에서 더 늘어나지 않고, 종합하여도 열에서 더 줄어들지 않으니, 늘어나지도 않고 줄어들지도 않는 것이 이 경의 종요다."라고 말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종요’는 법화학과 삼론학에서 써 왔지만, 원효가 즐겨 사용하여 그 의미를 심화·확장시킨 개념이다. 원효는 『대혜도경종요』, 『법화경종요』, 『화엄경종요』, 『무량의경종요』, 『무량수경종요』, 『열반경종요』, 『미륵상생경종요』, 『유마경종요』, 『능가경종요』, 『범망경종요』, 『광백론종요』, 『삼론종요』, 『중관론종요』, 『장진론종요』, 『성유식론종요』, 『보성론종요』, 『대승기신론종요』 등 자신의 여러 경론 주석서에 ‘종요’라는 이름을 덧붙이고 있다. 이러한 ‘종요’ 개념의 사용은 이후 태현의 저술인 『범망경(보살계본)종요』, 『유가계본종요』에서도 보인다.

참고문헌

『삼론현의』(길장, 박상수 옮김, 소명출판, 2009)
『금강삼매경론』(원효, 은정희·송진현 역주, 일지사, 2000)
『불교사전』(운허 용하, 동국역경원, 1961; 2002)
『한국불교대사전』(한국불교대사전편찬위원회, 보련각, 1982)
『한국불교찬술문헌총록』(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소 편, 동국대출판부, 1976)
집필자
고영섭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