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독자 ()

언어·문자
개념
한자를 음으로 읽으면서 그 표의성을 살려서 이용하는 차자(借字). 의자(義字) 가운데 음독.
이칭
이칭
의자(義字) 가운데 음독(音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한자를 음으로 읽으면서 그 표의성을 살려서 이용하는 차자(借字). 의자(義字) 가운데 음독.
개설

한자를 빌려서 한국어를 표기하는 것을 ‘차자 표기(借字表記)’라 하고, 차자 표기에 사용된 한자를 ‘차자(借字)’라 한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15세기 중엽 이전의 한국어 표기는 전적으로 차자 표기에 의존하였고,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문서를 작성하거나 한문 문헌에 구결을 달 때 차자 표기가 널리 이용되었다.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한자를 빌려 오는 과정에는 크게 두 가지의 원리가 작용하였다. 하나는 한자의 음(音)을 빌릴 것인지 아니면 훈(訓)을 빌릴 것인지에 관한 ‘음훈(音訓)’의 원리이고, 다른 하나는 한자의 본뜻을 살려 쓸 것[讀]인지 아니면 본뜻과 무관하게 쓸 것[假]인지에 관한 ‘독가(讀假)’의 원리이다. 이 두 가지의 원리를 조합하면 음독(音讀), 음가(音假), 훈독(訓讀), 훈가(訓假)의 네 가지 유형이 나오게 된다. 음독자는 이 중 첫 번째 유형인 ‘음독(音讀)’의 원리에 의해 사용된 차자를 가리킨다. 즉, 한자의 음을 빌리면서 그 한자의 본뜻을 살려 쓴 차자가 ‘음독자(音讀字)’인 것이다.

내용

음독자는 한자의 음을 빌리면서 그 한자의 본뜻을 살려 쓴 것이므로, 한문 문장을 구성하는 한자의 용법과 사실상 차이가 없다고도 할 수 있다. 한문에서 사용되는 한자어가 한국어에 차용되어 차자 표기로 쓰였을 때 그 단어를 구성하는 글자들이 음독자로 분류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백성이 훈민정음을 학습하다”라는 문장을 차자 표기로 기록하면 “百姓是 訓民正音乙 學習爲多”로 적을 수 있는데, 여기에 포함된 한자어 “百姓, 訓民正音, 學習”을 구성하는 “百, 姓, 訓, 民, 正, 音, 學, 習” 등은 모두 음독자로 분류된다. 따라서 한자어를 많이 사용한 차자 표기 문장은 차자의 네 가지 유형 가운데 음독자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난다.

한편 한자어가 대량으로 사용되고 한국어의 문법 형태를 표기하는 토(吐)의 표기가 불완전한 초기의 문장은 한문과의 경계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고구려 〈광개토대왕비〉(414년)나 신라 〈임신서기석〉(552년 또는 612년)의 문장은, 한국어 문장의 차자 표기로 보는 관점에서는 여기에 쓰인 글자의 대부분이 음독자로 파악되지만, 한국어의 요소가 반영된 일종의 변체 한문으로 보는 관점에서는 여기에 쓰인 글자들이 단지 한문을 구성하고 있는 한자일 뿐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의의와 평가

차자 표기의 용자법을 처음으로 체계화한 양주동(『고가연구(古歌硏究)』)은 한자의 본뜻을 살려 표기하는 ‘의자(義字)’의 하위 부류로 ‘음독(音讀)’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남풍현(『차자표기법연구(借字表記法硏究)』)은 양주동의 체계를 기본적으로 받아들이되 ‘의자(義字)’란 용어를 ‘독자(讀字)’로 바꾸고 그 하위 부류로 ‘음독자(音讀字)’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음독자의 설정은 차자 표기의 원리를 이해하는 중요한 길잡이로 평가되고 있다.

참고문헌

『석독구결의 문자 체계와 기능』(백두현, 한국문화사, 2005)
『이두연구』(남풍현, 태학사, 2000)
『차자 표기법 연구』(남풍현, 단국대학교 출판부, 1981)
『고가(古歌) 연구』(양주동, 박문서관, 1942)
집필자
장경준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