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를 빌려서 한국어를 표기하는 것을 ‘차자 표기(借字表記)’라 하고, 차자 표기에 사용된 한자를 ‘차자(借字)’라 한다. 훈민정음이 만들어진 15세기 중엽 이전의 한국어 표기는 전적으로 차자 표기에 의존하였고, 훈민정음 창제 이후에도 문서를 작성하거나 한문 문헌에 구결을 달 때 차자 표기가 널리 이용되었다.
한국어를 표기하기 위해 한자를 빌려 오는 과정에는 크게 두 가지의 원리가 작용하였다. 하나는 한자의 음(音)을 빌릴 것인지 아니면 훈(訓)을 빌릴 것인지에 관한 ‘음훈(音訓)’의 원리이고, 다른 하나는 한자의 본뜻을 살려 쓸 것[讀]인지 아니면 본뜻과 무관하게 쓸 것[假]인지에 관한 ‘독가(讀假)’의 원리이다. 이 두 가지 원리를 조합하면 음독(音讀), 음가(音假), 훈독(訓讀), 훈가(訓假)의 네 가지 유형이 나오게 된다. 음가자는 이 중 두 번째 유형인 ‘음가(音假)’의 원리에 의해 사용된 차자를 가리킨다. 즉, 한자의 음을 빌리면서 그 한자의 본뜻과 무관하게 쓴 차자가 ‘음가자(音假字)’인 것이다.
음가자는 한자를 음으로 읽되 그 한자의 본뜻과는 무관하게 사용한 글자이다. 한문에서 본래 중국어에 없던 외래어를 적기 위해 한자를 표음 부호처럼 사용하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고유어 인명, 지명, 물명 등의 표기에 음가자가 주로 쓰였다. 예를 들어 ‘너구리(<너고리)’를 차자 표기로 적으면 ‘汝古里’라 하였는데, 모두 본뜻과는 무관하게 표음성만을 취하되 ‘古’[고]와 ‘里’[리]는 음으로 읽은 음가자이고 ‘汝’[너]는 훈으로 읽은 훈가자이다. 여기서 훈가자 ‘汝’가 쓰인 것은 [너]라는 음을 가진 한자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문장 차원의 차자 표기에서는 조사나 어미와 같은 문법 형태의 표기에 음가자가 널리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조사 “-을, -도, -뿐”은 각각 “乙, 刀, 分”으로 적고, 어미 “-고, -나, -면”은 각각 “古, 那, 面”으로 적을 수 있었다.
음가자는 대체로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음절을 표기하지만 ‘只’[ㄱ], ‘隱’[ㄴ], ‘乙’[ㄹ], ‘音’[ㅁ], ‘邑’[ㅂ], ‘叱’[ㅅ], ‘應’[ㅇ] 등은 음소를 표기하기도 하였다. 그리고 하나의 음절을 표기하는 데 두 가지 이상의 글자가 쓰이기도 하였다. 예를 들어 [고]의 표기에는 ‘古’ 이외에 ‘高’나 ‘苦’가 쓰이기도 하였다.
차자 표기의 용자법을 처음으로 체계화한 양주동( 『고가연구(古歌硏究)』)은 한자의 본뜻과는 관계없이 그 음이나 훈만을 빌려 표기하는 ‘차자(借字)’의 하위 부류로 ‘음차(音借)’를 설정하였다. 그리고 남풍현(『차자표기법연구(借字表記法硏究)』)은 양주동의 체계를 기본적으로 받아들이되 ‘차자(借字)’란 용어를 ‘가자(假字)’로 바꾸고 그 하위 부류로 ‘음가자(音假字)’를 설정하였다. 이러한 음가자의 설정은 차자 표기의 원리를 이해하는 중요한 길잡이로 평가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