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로 ()

목차
불교
개념
인도의 천신이 마시는 영묘한 술(또는 약)인 아므리따의 번역어로, 종종 붓다의 교설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목차
정의
인도의 천신이 마시는 영묘한 술(또는 약)인 아므리따의 번역어로, 종종 붓다의 교설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내용

천상에 있는 신들이 항상 마시는 영묘한 술[또는 약]인 산스끄리뜨어로 아므리따(amṛta), 빨리어로 아마따(amata)를 한역(漢譯) 불교문헌에서는 단 이슬 즉 감로(甘露)라고 하였다. 이 술을 마시면 늙지도 않고 죽지도 않는다고 하여 불사(不死)라고 번역하기도 하였다. 붓다의 말씀을 감로에 비유하기도 하는데, 붓다의 말씀이 중생(衆生)의 몸과 마음을 기르는 묘한 맛을 지녔다는 의미가 있다.

황해도 신천군에서 '감로'라는 단어가 새겨진 전돌이 발견되었는데, 여기서의 ‘감로’는 위(魏) 고귀향공(高貴鄕公)이 사용한 연호(256~259)로 추정하고 있다. 신라말 고려초 선사들의 탑비에도 '감로'가 자주 등장한다. 예를 들어 최치원이 쓴 보령성주사지낭혜화상탑비(保寧聖住寺址郎慧和尙塔碑, 890년 이후)에는 "온 나라가 감로에 적셔졌다(一國滋甘露)"라는 구절이 있는데, 이때 감로는 붓다의 말씀을 의미한다.

또한 조선후기에 제작된 감로탱이 유명하다. 감로탱은 의지할 곳 없는 영혼들에게 단 이슬과 같은 법문을 베풀어 해탈시킨다는 의미에서 '감로'라는 이름을 붙인 불화로서, 서방극락세계, 아귀, 지옥세계, 현실의 모습을 한 폭의 그림에 담아 조상 숭배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개항기에 들어서는 감로법회(甘露法會)라는 이름을 붙인 법회(『한국불교전서』 권12)도 개최되었다. 1882년에 보광거사(葆光居士)가 쓴 감로사(甘露社)의 결사문(結社文), 발원문(發願文), 사규(社規)가 남아 있는데, 당시의 불교신앙을 보여주는 좋은 자료이다.

참고문헌

『주유마힐경(注維摩詰經)』
『무량수경(無量壽經)』
한국금석문종합영상정토시스템(gsm.nricp.go.kr/)
한국불교전서(kabc.dongguk.edu/)
집필자
박광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