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부경 ()

목차
불교
개념
불경의 내용을 수다라(修多羅, 경 · 계경), 가타(伽陀, 게 · 게송 · 풍송) 등 9종류로 분류한 불교용어. 구분교(九分敎) · 구부법(九部法).
이칭
이칭
구분교(九分敎), 구부법(九部法)
목차
정의
불경의 내용을 수다라(修多羅, 경 · 계경), 가타(伽陀, 게 · 게송 · 풍송) 등 9종류로 분류한 불교용어. 구분교(九分敎) · 구부법(九部法).
내용

구분교(九分敎), 구부법(九部法)이라고도 한다.

9종류의 명칭은 문헌마다 약간씩 차이가 있는데, 대표적으로 『법화경(法華經)』 「방편품(方便品)」에 나오는 것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다라(修多羅, sūtra)는 산문체로 설한 것으로, 경(經)·계경(契經)이라 번역한다.

둘째, 가타(伽陀, gāthā)는 운문체로 설한 것으로, 게(偈)라고 음사하기도 하고, 게송(偈頌)·풍송(諷頌)이라고도 한다.

셋째, 본사(本事, itivṛttaka)는 불제자의 과거 인연을 설한 부분이다.

넷째, 본생(本生, jātaka)은 붓다의 전생 이야기를 설한 부분이다.

다섯째, 미증유(未曾有, adbhuta)는 부처의 불가사의한 신통력을 설한 부분이다.

여섯째, 인연(因緣, nidāna)은 부처를 만나 설법을 듣게 된 인연을 설한 부분이다.

일곱째, 비유(譬喩, avadāna)는 비유로 가르침을 설한 부분이다.

여덟째, 기야(祇夜, geya)는 산문체로 된 내용을 다시 운문체로 설한 것으로, 응송(應頌)·중송(重頌)이라 번역한다.

아홉째, 우파제사(優婆提舍, upadeśa)는 교리에 대한 문답 부분으로, 논의(論議)라고 번역하기도 한다.

이상은 구부경 가운데 소승 구부(小乘九部)이다.

대승 구부(大乘九部)는 소승 구부에서 인연, 비유, 우파제사를 빼고 자설(自說), 방광(方廣, 대승방등경전), 수기(授記: 붓다가 될 것이라는 말씀)를 더한 것이다. 소승 구부와 대승 구부를 합하여 십이부경(十二部經)이라 한다.

조선시대에 쓰여진 『불설천지팔양신주경주(佛說天地八陽神呪經註)』에 ‘소승 구부경, 대승 십이부경’이라는 표현이 나와, 조선시대까지도 소승 구부라는 인식이 있었음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법화경(法華經)』
『대반열반경(大般涅槃經) 』
『한국불교전서』(kabc.dongguk.edu/)
집필자
박광연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