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강수 ()

목차
관련 정보
경주 석굴암 석굴 중 좌측 금강역사
경주 석굴암 석굴 중 좌측 금강역사
불교
개념
손에 금강저를 지니고 있는 불교의 수호신이나 보살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금강보살 · 금강수보살 · 집금강 · 지금강 · 금강신 · 금강역사 · 금강야차.
이칭
이칭
금강보살(金剛菩薩), 금강수보살(金剛手菩薩), 집금강(執金剛), 지금강(持金剛), 금강신(金剛神), 금강역사(金剛力士), 금강야차(金剛夜叉)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손에 금강저를 지니고 있는 불교의 수호신이나 보살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금강보살 · 금강수보살 · 집금강 · 지금강 · 금강신 · 금강역사 · 금강야차.
내용

금강수(金剛手, Vajrapāṇi)는 금강보살(金剛菩薩), 금강수보살(金剛手菩薩), 집금강(執金剛), 지금강(持金剛), 금강신(金剛神), 금강역사(金剛力士), 금강야차(金剛夜叉) 등으로도 불린다. 대승불교에서 가장 이른 시기에 등장한 보살들 가운데 하나이다. 보통 금강저(金剛杵)를 쥐고 있는 보살을 가리키며 붓다를 호위하는 세 명의 협시보살(脇侍菩薩)들 가운데 하나이다. 우리나라 사찰에서는 문의 좌우에 서서 수문 신장(守門神將)의 역할을 한다.

참고문헌

『불타의 세계』(中村元, 김지견 옮김, 서울: 김영사, 2005)
The Gods of Northern Buddhism(Alice Getty, New Delhi: Muns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Ltd., 1978)
The Indian Buddhist Iconography, mainly based on the Sādhanamālā and other cognate Tāntric texts of ritual(Benoytosh Bhattacharyya,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24)
관련 미디어 (2)
집필자
김한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