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담발화 ()

목차
불교
개념
붓다나 전륜성왕이 나타날 때만 핀다는 상서로운 꽃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우담바라 · 우담화 · 우발화.
이칭
이칭
우담바라(優曇鉢羅), 우담화(優曇華), 우발화(優鉢華)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붓다나 전륜성왕이 나타날 때만 핀다는 상서로운 꽃을 가리키는 불교용어. 우담바라 · 우담화 · 우발화.
내용

우담발화(優曇鉢華, udumbara)는 우담바라(優曇鉢羅) 또는 우담화(優曇華), 우발화(優鉢華)라고도 한다. 인도와 스리랑카 등지에서 자생하는 인도 원산의 뽕나무과(Moraceae)에 속하는 무화과 나무(Ficus Glomerata)이다. 암수딴그루로 나무의 높이는 3m가량이고, 잎은 달걀 모양으로 얇다. 꽃은 꽃받침에 싸여 있는데 작아서 밖에서는 보이지 않는다.

대승불교에서는 우담발화가 1000년이나 3000년 만에 한번 꽃을 피운다고 생각되어 왔다. 그래서 붓다나 전륜성왕(轉輪聖王)이 세상에 나타나거나 붓다의 가르침을 듣는 일과 같이 극히 드물고 상서로운 일에 곧잘 비유되어 왔다. 이규보(李奎報, 1168~1241)가 쓴 「불정도량소(佛頂道場疏)」에는 “세존(世尊)이 드물게 현신(現身)하심은 우담바라(優曇跋羅) 꽃이 3000년만에 한 번 피는 것과 같고, 불경이 가장 높음은 마니보주(摩尼寶珠)가 찬란하게 비침과 같습니다.”라는 구절이 보인다.

참고문헌

『広説佛教語大辞典』 (中村元, 東京: 東京書籍, 2010)
The Princeton Dictionary of Buddhism(Robert E. Buswell Jr. & Donald S. Lopez Jr., Princeton and Oxford: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14)
집필자
김한상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