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절유택 ()

고대사
개념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신라의 별장 형태의 저택.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었던 신라의 별장 형태의 저택.
개설

신라 하대에 진골(眞骨)귀족들이 4계절마다 유흥(遊興)하는 별장(別莊) 형태의 저택이다.

내용

신라의 전성시대에는 수도인 경주에 부유한 큰 저택인 금입택(金入宅)이 35개가 있었다. 그리고 봄에는 동야택(東野宅), 여름에는 곡량택(谷良宅), 가을은 구지택(仇知宅), 겨울은 가이택(加伊宅) 등 4계절마다 유흥하는 별장 형태의 저택도 있었다. 또한 제49대 헌강왕 때인 880년(헌강왕 6)에는 신라의 수도인 경주의 성 안에 초가집이 하나도 없었으며, 추녀가 맞붙고 담장이 이어져 있어 노래와 풍류소리가 길에 가득 차 밤낮 그치지 않았다.

의의와 평가

신라 하대에 중앙의 진골귀족들은 대토지 소유를 바탕으로 풍광이 수려한 곳에 35개의 금입택과 4개의 사절유택으로 상징되는 사치와 향락적인 생활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진골귀족들의 사치와 향락에 대해 신라 조정에서는 834년에 사치를 금지하는 교서를 내리기도 하였다. 그러나 889년에는 나라의 창고가 텅 비게 되는 상황에 이르렀고, 결국 지방에 세금을 독촉하는 것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농민들이 반란을 일으키면서 새롭게 후삼국시대가 전개되었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한국의 정원』(주남철,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9)
「신라 금입택과 재매정택」(주보돈, 『신라문화』 46, 2015)
「신라 금입택의 유형과 그 분포」(양시호, 『신라사학보』 14, 2008)
「신라통일기의 옥사건축」(신영훈, 『고고미술』 162·163, 1984)
「신라의 유희」(윤경렬, 『신라문화제학술발표논문집』 4, 1983)
「신라금입택고」(이기동, 『진단학보』 45, 1978)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