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안이씨가 각색편 ( )

식생활
음식·약
국가유산
멥쌀가루에 다양한 재료를 섞어 찌는 연안이씨가의 떡(시루떡) 음식.
이칭
약칭
연안이씨 각색편
음식·약/음식
재료
멥쌀가루|설탕물|꿀|승검초가루|대추|밤|석이버섯 등
관련 장소
대전광역시 연안이씨가
시도지정문화재
지정 명칭
지정기관
대전광역시
종목
시도무형유산(2000년 10월 18일 지정)
소재지
대전광역시 연안이씨가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연안이씨가 각색편은 멥쌀가루에 다양한 재료를 섞어 찌는 연안이씨가의 떡(시루떡) 음식이다. 멥쌀가루에 설탕물을 내린 백편, 꿀을 섞은 꿀편, 승검초 가루를 섞은 승검초편을 각색편 혹은 갖은 떡이라 한다. 대추, 밤, 석이버섯을 채로 썰어 비늘 잣과 함께 고명을 올려 찌는 떡으로 잔칫상에 고임 떡으로 올리던 화려하고 기품 있는 떡이다. 정성이 많이 들어가며 다양한 색색의 고명을 올려 모양이 화려하며 품위가 있다.

정의
멥쌀가루에 다양한 재료를 섞어 찌는 연안이씨가의 떡(시루떡) 음식.
연원 및 변천

각색편은 고려시대부터 만들어졌다는 기록이 있고 조선 왕실 의궤(儀軌)에도 나오는 떡이다. 주로 서울 지방에서 혼례(婚禮), 회갑연(回甲宴) 등의 잔칫상에 고임 떡으로 올리던 떡이다. 백편(白䭏) 등은 원래 차(茶) 문화의 발달로 다도(茶道)와 함께 궁중 연회에서 주로 사용되었던 음식이다. 고려시대에는 말차(末茶)와 함께, 조선시대에는 녹차와 함께 주로 사용되었던 대표적인 떡이었다. 조선 왕조의 잔치인 진연(進宴), 진찬(進饌), 진작(進爵)의 연회(宴會)에는 반드시 올라가는 찬품이었다. 각색편 중에서도 연안이씨가 각색편(延安李氏家各色䭏)은 대전의 연안이씨 가문에서 조선시대 이래 내려오던 떡이다. 2000년 10월 18일 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현, 무형유산)로 지정되었으며, 현재는 연안이씨인 이만희가 기능 보유자이다.

조리법

각색편은 찌는 떡을 말한다. 우리나라 떡은 찌는 떡, 치는 떡, 지지는 떡, 빚는 떡으로 분류한다. 각색편은 다양한 편이 존재하는데 이를 함께 일컫는 용어라 볼 수 있다. 여러 가지 색의 편은 사용하는 재료에 따라 달라진다. 멥쌀가루에 설탕물을 내린 것은 백편, 꿀과 간장을 내린 것은 꿀편, 승검초(당귀싹) 가루를 섞어 물을 내린 것은 승검초편이라 하는데 이를 아울러 각색편이라고 부른다. 각색편을 만들 때 고물 대신 한 편에만 밤, 대추, 비늘 잣, 석이버섯 등을 고명으로 올려 쪄낸다. 찔 때에는 쌀가루에 고명을 올린 후 한지로 덮어 살짝 눌러서 고명이 잘 떨어지지 않게 쪄내야 한다. 정성이 많이 들어가며 다양한 색색의 고명을 올려 모양이 화려하며 품위가 있다.

관련 풍속

『조선왕조궁중의궤(朝鮮王朝宮中儀軌)』의 기록에 의하면 백편에는 멥쌀 · 찹쌀 · 석이버섯 · 잣 · 밤 · 대추가 재료로 쓰인다. 꿀편에는 멥쌀 · 찹쌀 · 대추 · 밤 · 잣 · 꿀이 재료로 사용되며, 승검초편에는 맵쌀 · 찹쌀 · 승검초가루 · 대추 · 밤 · 잣 · 꿀이 재료로 쓰인다. 각색편은 이들 재료를 참기름 먹인 한지를 깔고 곱게 정성을 다하여 대추 · 밤 · 잣으로 장식하여 찌는데 궁중 잔치에 필수적인 떡이었고 이를 이어받은 반가에서도 많이 만들었다.

참고문헌

원전

『조선왕조궁중의궤(朝鮮王朝宮中儀軌)』

단행본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한국음식대관』 2(한림출판사, 2002)
한국문화재보호재단, 『한국음식대관』 6(한림출판사, 2002)
김정옥 외, 『연안이씨각색편 기능보유자 이만희-대전광역시 무형문화재 제10호-』(대전광역시, 2016)

인터넷 자료

국가유산청 국가문화유산포털(www.heritage.go.kr)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