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삼서 ()

목차
관련 정보
출판
문헌
조선시대, 왕실과 고위 관료들이 사용한 달력.
내용 요약

『내용삼서(內用三書)』는 조선시대 왕실과 고위 관료들이 사용한 달력이다. 책력 가운데 가장 고급스러웠으며, 종류가 다양한 『시헌서(時憲書)』와 달리 한 가지 형태만으로 제작되었다. 『내용삼서』의 원래 명칭은 『내용삼력(內用三曆)』인데, 여기에서 삼력은 역주(曆註)에 실려있는 상(上), 임(壬), 하(下)를 의미한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왕실과 고위 관료들이 사용한 달력.
구성과 내용

『내용삼서(內用三書)』는 조선시대 왕실과 고위 관료들이 사용한 달력이다. 책력 가운데 가장 고급스러웠으며, 종류가 다양한 『시헌서(時憲書)』와 달리 한 가지 형태만으로 제작되었다. 조선 후기 연력(年曆)을 대표하는 『시헌서』는 형태에 따라 큰 책력에 해당되는 장력(粧曆)과 이보다 작고 소략하게 만들어진 중력(中曆), 소력(小曆) 등으로 제작되었다. 『내용삼서』는 장력에 해당된다. 화려한 겉표지를 갖춘 장력은 다시 책을 매는 실의 종류에 따라 백장력(白粧曆)과 청장력(靑粧曆)으로 나눠지며, 그 외 『첩장력(貼粧曆)』이라 불리는 장력도 있었다. 이들 장력들은 고급 역서로서 대체로 왕족이나 양반들이 사용한

대전(大殿)주2이나 주1, 세자궁(世子宮)과 영사(領事), 제조(提調) 등의 고위층들이 사용한 연력인 『내용삼서』는 달력의 기능뿐만 아니라 주3들이 택일(擇日)이나 길흉을 알아보는 역서로 활용되었으며, 그 저본은 중국력(中國曆)이었다.

『내용삼서』의 원래 명칭은 『내용삼력(內用三曆)』이었으나 건륭제의 이름인 홍력(弘曆)의 ‘력’ 글자를 피해 『내용삼서』로 개칭했다. 『내용삼서』의 삼력은 역주(曆註)에 실려 있는 상(上),임(壬), 하(下)를 의미한다. 상이란 황제나 왕들의 의(宜), 불의(不宜) 즉 ‘그날 하기에 좋은 일’과 ‘안좋은 일’을 적어놓은 것이다. 임은 육임력(六壬曆)의 의, 불의인데, 중국과 달리 조선시대에 편찬된 『내용삼서』는 상과 하 부분에 대해서만 의, 불의가 적혀져 있고 임은 공란으로 처리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 내용으로 보았을 때, 『내용삼서』는 일반인이 아닌, 왕실과 고위 관리, 일관들이 참조한 연력으로서, 상과 임은 없고 하의 역주만 실려있는 15장의 『시헌서(時憲書)』와 비교해 50장이 넘는 고급 달력이었다. 『내용삼서』를 발간할 때는 역서명을 “대한건륭사십사년세차기해내용삼서(大淸乾隆四十四年歲次己亥內用三書)”와 같이 중국 국호와 연호를 붙였다. 조선 후기의 역서명은 병자호란 이후 청(淸)의 연호를 따랐으며, 조선시대 역서에서 자국의 국호와 연호를 사용하게 된 것은 1895년 이후부터이다.

장서각에 소장된 『내용삼서』는 1769년(영조 45년) 관상감(觀象監)에서 펴낸 것으로 전체 13책이다.

참고문헌

원전

『이재난고(頤齋亂藁)』
『서운관지(書雲觀志)』

단행본

정성희, 『조선시대 우주관과 역법의 이해』(지식산업사, 2005)

논문

정성희, 「장서각 소장 역서에 대한 고찰」(『장서각』 6, 한국학중앙연구원, 2001)
주석
주1

왕비가 거처하던 궁전. 우리말샘

주2

임금이 거처하는 궁전. 우리말샘

주3

길일(吉日)을 잡는 사람. 우리말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