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택파주고속도로 ()

교통
지명
경기도 평택시를 기점으로, 파주시를 종점으로 하여 남북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이칭
이칭
평택화성 · 수원문산선
지명/시설
길이
117.69km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내용 요약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를 기점으로, 파주시를 종점으로 하여 남북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이다. 평택파주고속도로는 파주~평택을 1시간 이내로 이동이 가능하며, 수도권 물류 여건 개선과 생활권역 확대 등 지역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평택화성고속도로·수원광명고속도로·서울문산고속도로·서울광명고속도로를 통틀어서 말하며, 평택화성·수원문산선 이라고도 한다.

정의
경기도 평택시를 기점으로, 파주시를 종점으로 하여 남북을 잇는 대한민국의 고속도로.
건립 경위

평택파주고속도로는 파주~평택을 1시간 이내로 이동이 가능하며, 수도권 물류 여건 개선과 생활권역 확대 등 지역 경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건설되었다. 평택화성고속도로 · 수원광명고속도로 · 서울문산고속도로 · 서울광명고속도로를 통틀어서 말하며, 평택화성 · 수원문산선 이라고도 한다.

형성 및 변천

평택파주고속도로는 경기도 평택시에서 화성시를 잇는 구간으로 2004년에 고속 국도 제411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화성선)로 지정되었으며, 경기도 평택시 오성면화성시 봉담읍 구간을 2008년에 고속 국도 제17호선 평택화성고속도로(평택-화성선)로 지정하며 노선 번호가 변경되었다. 이후 2009년 10월 29일에 오성 나들목봉담 나들목 26.7km 구간을 개통하였으며, 왕복 4~6차선으로 경기고속도로주식회사가 30년간 운영 및 관리를 하고 있다. 주요 시설로는 교량 77개소, 터널은 동탄 방면, 봉담 방면 각 1개이며, 출입 시설로는 나들목 8개소, 분기점 4개소가 있다.

수원광명고속도로는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와 광명시 소화동을 잇는 도로로 27.4km 구간을 2016년 4월 29일에 개통하였으며, 수원광명고속도로주식회사가 30년간 운영 및 관리를 하고 왕복 46차선으로 되어 있다. 수원광명고속도로는 1개의 지하 차도와 5개의 터널, 교량 48개소, 영업소 5개소와 나들목 5개소, 분기점 2개소가 포함되어 있다. 구봉산터널, 수리산 13터널 성채터널 중 가장 긴 터널인 성채터널은 경기도 광명시에 위치한 장대터널로, 상행(광명방향)의 총길이는 3.31km이고 하행(수원방향)의 총길이는 3.292km이다.

2018년 평택화성고속도로와 수원문산고속도로를 합하여 고속 국도 제17호선 평택파주고속도로(평택-파주선)로 지정하였다. 이후 서울문산고속도로는 경기도 고양시파주시를 잇는 도로를 2015년부터 공사를 시작하여 2020년 11월 7일에 개통하였으며, 총 35.2km 왕복 2~6차선으로 되어 있다. 서울문산고속도로주식회사가 30년간 운영 및 관리를 하고 있으며, 2조 1,190억 원이 투자되었다.

현황

국토교통부고시(제2023-77호)에 따르면, 평택파주고속도로는 117.69km이다. 서울광명고속도로는 경기도 광명시 가학동에서 서울특별시 강서구 방화동까지 연결하는 고속도로로 전라북도(현, 전북특별자치도) 익산과 경기도의 평택, 수원, 광명과 서울을 잇는 광역교통망 구축 중 일부 구간에 속하며, 향후 서울문산고속도로와 연결된다. 국토의 서부를 남북으로 관통하는 핵심 축으로 2019년 7월부터 본격적인 공사가 시작되었다.

총 사업비는 9,724억이 투자되었으며, 2024년 개통을 목표로 공사를 진행하였다. 서울광명고속도로는 4~6차선으로 교량 31개소, 지하 차도 1개소, 터널 7개소가 포함되어 있으며, 출입 시설은 분기점 1개소, 나들목 5개소, 간이 휴게소 1개소가 계획되어 있다. 고속도로 건설로 인한 원광명마을 구도심의 단절과 차량 소음, 분진 문제를 방지하고 향후 해당 지역의 친환경적인 개발을 위해 2021년 8월에 고속도로의 일부 구간인 광명동 원광명마을-부천 사이의 1.5㎞ 구간은 지하화하기로 하였다.

참고문헌

인터넷 자료

경기고속도로(주) 홈페이지(http://www.ggex.co.kr)
디지털광명문화대전(http://gwangmyeong.grandculture.net/gwangmyeong/toc/GC03131031)
디지털화성시문화대전(http://www.grandculture.net/hwaseong/toc/GC08600271)
서울문산고속도로(주) 홈페이지(http://www.sm-hi.co.kr)
수도권서부고속도로 홈페이지(http://www.mweway.co.kr)
한국도로공사 홈페이지(https://www.ex.co.kr/)
집필자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