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포도 ()

청포도
청포도
현대문학
작품
이육사(李陸史)가 지은 시.
정의
이육사(李陸史)가 지은 시.
개설

「광야(曠野)」·「꽃」·「절정(絶頂)」·「황혼(黃昏)」 등과 함께 이육사의 대표작의 하나이다. 1939년 8월호 『문장(文章)』지에 발표되었다가 그 뒤 『육사시집』에 수록되었다.

내용

총 6연(각 2행)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내용상 크게 두 단계로 나누어볼 수가 있다.

제1∼3연까지의 내용이 청포도가 익어 가는 내 고장 칠월의 자연적 배경이라면, 제4∼6연까지의 내용은 청포(靑袍)를 입고 찾아오는 손님을 기다리는 작자의 마음으로 요약된다.

나라를 잃고 먼 이역 땅에서 고국을 바라다보는 시적 자아(詩的自我)의 안타까운 마음과 향수, 그리고 암울한 민족현실을 극복하고 밝은 내일에의 기다림과 염원을 노래하고 있다.

이 시에서 우리는 맑고 밝은 톤(音調)과 청신함을 느끼게 되는데, 이는 ‘청포도’·‘하늘’·‘푸른바다’·‘청포’와 같은 푸른 빛깔과 ‘흰 돛단 배’·‘은쟁반’·‘하이얀 모시수건’과 같은 흰 빛깔의 대응으로 표상되는 투명한 서정성과 간결하고 응축된 시상의 짜임새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청포도’와 ‘전설’과 ‘하늘’의 이미지를 ‘주저리 주저리’와 ‘알알이’로 연계시킨 이음새도 자연스럽거니와 이들의 결합으로 형성된 상징성은 매우 다양하다.

더구나 바람조차 의인화하여 가슴을 열게 한 표현 기법은 시적 형상화에서 고도의 경지를 보여준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시에서 청포를 입고 찾아오는 ‘손님’, 곧 ‘나’와 ‘그’에 대해서는 이론(異論)이 제기되고 있다.

‘손님’을 육사 자신으로 보고 분열된 한 영혼의 양면성을 지적하기도 하고, ‘손님’을 그대로 객체화하여 민족적 현실의 극복을 염원하는 상징성을 강조하기도 한다.

의의와 평가

청포도를 먹게끔 마련된 식탁에서 정성스럽게 맞이할 손님은 청포를 입고 고달픈 몸을 이끌고 오는 귀한 존재로서 육사가 끝없이 기다리는 염원의 대상임에 틀림없다. 요컨대, 이 시는 ‘청포도’라는 한 사물을 통해서 느끼는 작자의 고국으로 향하는 끝없는 향수와 기다림의 대상에 대한 염원을 주제로 하고 있다.

참고문헌

『한국현대시의 이해』(신경림·정희성, 진문출판사, 1981)
『한국현대시론』(박두진, 일조각, 1971)
「육사의 시세계」(김학동, 『이육사전집』, 새문사, 1986)
관련 미디어 (1)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