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륜공 ()

목차
고대사
인물
신라의 제24대 진흥왕의 셋째 아들이자 후백제 견훤의 고조부로 『이제가기』에 기록된 왕족.
인물/전통 인물
출생 연도
미상
사망 연도
미상
목차
정의
신라의 제24대 진흥왕의 셋째 아들이자 후백제 견훤의 고조부로 『이제가기』에 기록된 왕족.
내용

『이제가기』는 『삼국유사』견훤조에 인용된 사가보첩류(私家譜牒類)의 서책인데, 이에 의하면 “진흥대왕의 비 사도부인(思刀夫人)의 시호는 백숭부인(白𪀚夫人)이니 그의 제3자 구륜공의 아들인 파진찬(波珍飡) 선품(善品)의 아들 각간(角干) 작진(酌珍)이 왕교파리(王咬巴里)를 아내로 맞아서 각간 원선(元善)을 낳으니 이가 아자개(阿慈介)였다.

아자개의 제1처는 상원부인(上院夫人)이고 제2처는 남원부인(南院夫人)이니 다섯 아들과 딸 하나를 낳았다. 장자는 곧 상보(尙父)인 견훤이요, 둘째는 장군 능애(能哀), 셋째는 장군 용개(龍蓋), 넷째는 보개(寶蓋), 다섯째는 장군 소개(小蓋)요, 딸은 대주도금(大主刀金)이다.”라고 하였다.

물론 이것은 조작된 선대세계(先代世系)라고 할 것이다. 왜냐하면 혈통상으로나 연대적으로 불합리하기 때문이다. 앞에서 인용한 『이제가기』에 의하면 구륜공은 진흥왕의 제3자라 한다. 그런데 『삼국사기』에는 진흥왕의 아들로 동륜태자(銅輪太子)와 사륜왕자(舍輪王子)만 있고 구륜공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물론 정사(正史)에 누락된 왕자도 있을 수 있으나, 연대적으로 구륜공이 견훤의 고조부가 될 수 없다. 그러므로 구륜공을 견훤의 시조로 칭한 것은 견훤이 왕을 칭함에 따라서 신라의 성골왕계(聖骨王系)에 그 혈통을 연결시킨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참고문헌

『삼국사기(三國史記)』
『삼국유사(三國遺事)』
「견훤(甄萱)의 가향(家鄕)에 대(對)하여」(김상기, 『동방학논총(東方學論叢)』, 1974)
「후백제견훤연구(後百濟甄萱硏究)」(신호철, 『백제논총(百濟論叢)』 1, 1985)
집필자
정중환
    • 본 항목의 내용은 관계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 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