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정래 ()

유교
인물
조선 후기에, 광릉참봉 등을 역임하였으며, 『연포당유고』를 저술한 학자.
이칭
내길(來吉)
연포당(蓮浦堂)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634년(인조 12)
사망 연도
1698년(숙종 24)
본관
능성(綾城)
출생지
미상
주요 관직
호조참판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광릉참봉 등을 역임하였으며, 『연포당유고』를 저술한 학자.
개설

본관은 능성(綾城). 자는 내길(來吉), 호는 연포(蓮浦). 가림(嘉林: 지금의 충청남도 부여)에서 살았다. 아버지는 증 승지 구하(具厦), 어머니는 광산김씨(光山金氏)로 현감 김동준(金東準)의 딸이며, 허목(許穆)의 문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675년(숙종 1)에 사마시(司馬試)에 합격, 광릉참봉(光陵參奉)을 지내고, 장흥고봉사(長興庫奉事)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다. 숙종이 등극하면서 호패법(戶牌法)을 실시하고 서얼(庶蘖)들을 모두 군적(軍籍)에 충정(充定)하려 하자 강력한 반대 상소문을 올렸다가 중도에서 그쳐지고 말았다.

그러한 그의 강직한 성격은 간혹 그의 경륜과 재주에 탄복하여 상소문의 대초(代草)를 부탁한 사람들이 있었으나 마지막에 그 초고(草稿)가 완성되면 시세에 저촉되는 말이 많아 번번히 올려지지 않은 데서도 나타난다.

그러나 허목은 산림(山林)으로 천거되어 벼슬에 나가면서 그를 맨 먼저 천거할 정도로 덕이 있었다. 호조참판에 증직되었으며, 저서로는 『연포당유고(蓮浦堂遺稿)』 1권이 있다.

참고문헌

『연포당유고(蓮浦堂遺稿)』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