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욱 ()

조선시대사
인물
조선 후기에, 장악원주부, 연풍현감, 돈녕부정 등을 역임한 문신.
이칭
문거(文擧)
뇌서(磊棲)
인물/전통 인물
성별
남성
출생 연도
1808년(순조 8)
사망 연도
1885년(고종 22)
본관
안동(安東)
출생지
문경(聞慶)
주요 관직
돈녕부정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정의
조선 후기에, 장악원주부, 연풍현감, 돈녕부정 등을 역임한 문신.
개설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문거(文擧), 호는 뇌서(磊棲). 문경 출생. 아버지는 돈녕부도정 김석근(金襫根)이며, 어머니는 문희전씨(聞喜錢氏)로 전도석(錢道碩)의 딸이다.

생애 및 활동사항

18세 때 서울에 올라와 김희순(金羲淳)과 김수근(金洙根) 두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후일 국권을 흔들었던 김병학(金炳學)·김병국(金炳國)과 교유하였다. 1858년(철종 9) 궁중의 경사로 6품 벼슬에 등용되어 1860년에 사헌부감찰과 장악원주부를 거쳐, 1862년에 다스리기 어려운 곳으로 소문난 연풍(延豊)의 현감으로 임명되어 큰 치적을 남기며 숙폐(宿弊: 오랜 동안 쌓인 폐해)를 일소하였다.

새로 부임한 감사와의 알력으로 사직하고 돌아오자 현에서 동비(銅碑)를 세워 덕을 기렸다. 1867년(고종 4) 문경현(聞慶縣)의 숙폐를 다스리다 토호로 몰려 문화(文化)로 귀양갔다. 이때 귀양지에서 「태평오책(太平五策)」을 올렸는데, 고종으로부터 크게 칭찬을 들었고 귀양도 곧 풀렸다.

1882년 돈녕부도정에 임명되었다. 항상 지(知)·인(仁)·용(勇) 중에서 용이 학문의 관건임을 들어 자신이나 후진을 채찍질하였고, 삼정(三政)에 대한 해박한 식견은 고금을 통틀어 막히는 데가 없었으며, 늘 개혁에 대한 열정을 지니고 있었다. 저서로는 『뇌서집(磊棲集)』이 있다.

참고문헌

『고종실록(高宗實錄)』
『순종실록(純宗實錄)』
『뇌서집(磊棲集)』
관련 미디어 (1)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