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책. 필사본. 권두에 김진세(金鎭世)의 서문이 있다. 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시 227수, 제문 4편, 서(序) 5편, 잡저 7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뒷부분에는 아들의 유고인 『채은유고(菜隱遺稿)』가 부록되어 있는데 시만 59수이다.
시는 주로 문방사우(文房四友), 화초류, 기타 선비의 일상생활과 관계있는 것을 묘사하였는데, 기법이 매우 다양하며 시감이 풍부하다.
「위인정수의장(爲人呈繡衣狀)」은 암행어사에게 진정한 것으로, 가난하고 굶주리는 사람을 위해 선정을 베풀어 줄 것을 호소하고, 특히 삼정(三政)의 독촉을 중지할 것을 요구하면서, 백성은 국가의 근본이므로 백성이 없는 국가가 존재할 수 없음을 강조하고 관민이 무사하도록 처리해야 함을 주장했다.
「위인걸량문(爲人乞粮文)」은 같은 마을에 사는 고아인 김아(金雅)의 형제가 굶주림에 시달리는 것을 보고, 이웃 사람들에게 따뜻한 인정을 호소하면서 뜻을 모아 도울 것을 청하였다.
「위사포동인정본관장(爲沙浦洞人呈本官狀)」은 마을사람들을 위해서 군수에게 보낸 글로, 사포리를 담당한 관리가 개와 돼지를 잡아먹고 돈과 곡식을 요구하는 폐단이 있어서 마을사람들이 학정에 시달린다고 지적하면서 시정해 줄 것을 건의하였다.
이 글은 조선 후기 지방행정의 실상을 나타내주는 자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