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우당문집 ()

목차
유교
문헌
조선시대 때의 학자, 김근의 시 · 제문 · 전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 본 항목의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통해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목차
정의
조선시대 때의 학자, 김근의 시 · 제문 · 전 · 잡저 등을 수록한 시문집.
내용

4권 2책. 목판본. 9대손 도화(道和) 등이 편집, 간행하였다. 권두에 김굉(金㙆)의 서문, 권말에 김흥락(金興洛)의 발문과 도화의 후지가 있다. 국립중앙도서관과 영남대학교 도서관 등에 있다.

권1∼3은 부(賦) 4편, 시 343수, 서(書) 2편, 제문 22편, 권4는 기(記) 1편, 전(箋) 2편, 묘지 2편, 행록(行錄) 3편, 잡저 5편, 부록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와 시에는 임진왜란·병자호란 등 난리를 겪으면서 그의 우국정신(憂國精神)과 세 아들이 일찍 죽은 데 대한 슬픔과 번민·한탄을 술회한 작품이 많다.

이러한 감회는 부의 「차유회부(次幽懷賦)」·「차민사부(次悶巳賦)」 등과 시의 「우성(偶成)」·「문천장전사술회(聞天將戰死述懷)」·「신연(新燕)」·「술회(述懷)」·「자탄(自歎)」·「문첩보(聞捷報)」·「영회십운(詠懷十韻)」·「오우당육절(五友堂六絶)」·「술회이절(述懷二絶)」 등에 잘 나타나 있다.

서거정(徐居正)의 「한도십영(漢都十詠)」에 차운한 칠언율시 10수는 서경적인 면을 잘 나타낸 작품이다. 마포에서 뱃놀이하는 장면 등 조선 중기 서울의 아름다웠던 정경이 잘 묘사되어 있다.

그의 시는 현실적인 소재를 택하고 있기에 조선 중기의 사회상과 시의 경향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이밖에 잡저의 「자해(自解)」는 아들 셋과 동생이 일찍 죽은 데 대한 소회를 기술한 것이다.

• 항목 내용은 해당 분야 전문가의 추천을 거쳐 선정된 집필자의 학술적 견해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의 공식입장과 다를 수 있습니다.
• 사실과 다른 내용, 주관적 서술 문제 등이 제기된 경우 사실 확인 및 보완 등을 위해 해당 항목 서비스가 임시 중단될 수 있습니다.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은 공공저작물로서 공공누리 제도에 따라 이용 가능합니다. 백과사전 내용 중 글을 인용하고자 할 때는
   '[출처: 항목명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과 같이 출처 표기를 하여야 합니다.
• 단, 미디어 자료는 자유 이용 가능한 자료에 개별적으로 공공누리 표시를 부착하고 있으므로, 이를 확인하신 후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미디어ID
저작권
촬영지
주제어
사진크기